생활역학 (35) 썸네일형 리스트형 설을 쇠다. 설이나 추석에 친구끼리 인사가 '명절 잘 쇠라' 이렇게 인사 많이 합니다. 이것이 표준어 지요. 명절을 맞이하여 보낸다는 의미로 '쇠다' 가 맞는 표현인데 간혹 쉬라, 새라 등등으로 말하기도 합니다. 그것은 표준어가 아니지요. 벌에 쏘이다. 바람을 쏘이다는 '바람쐬다' 로 명절 쇠다와 다르지요. 아무튼 명절 잘 쇠시고 복 많이 받으세요. 참고로, 쏘이다가 쐬다로 되는 간음화 현상에 대해 한 가지 더 추가 하면 '오이' (cucumber) 를 경상도 지역에서는 '외' 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오이는 크게 두 가지가 있지요. 맛 있는 오이는 '참' 이라는 접두사를 붙여서 '참오이' 즉 참외라 하고 상대적으로 맛이 덜한 오이는 '물' 이라는 접두사를 붙여서 '물오이' 라 하는데 이것을 '물외' 가 되는 것인데 .. 입춘대길. 금일 절입시각(입절시각)인 17:26 이후로 명리상 갑진년이 시작됩니다. 한 해의 시작인 만큼 기분 좋게 시작해야 일년 내내 기분이 좋을 것입니다. '입춘대길 건양다경' 이렇게 많이 써서 대문에 붙이는데 문제는 건양다경(建陽多慶)에 대한 해석이 애매 합니다. 입춘대길은 미수 허목 선생이 지었다하고 건양다경은 우암 송시열 선생이 지었다는 설도 있지만 일제 시대에 고종이 음력설을 쇠는것을 고집하므로 일제가 양력설을 쇠면 경사가 많다는 뜻으로 지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건양이란 '양력을 세운다' 즉 양력을 쇤다는 뜻이 더 적절해 보입니다. '밝은 양기를 세운다' 고 해석할 수 도 있겠지만요. 아무튼 아래의 링크를 보시면 일제의 잔재이므로 '건양다경'은 적지 말아야 한다는 신문사설입니다. https://www.g.. 축문(祝文) 쓰는 법. 축문 쓰는 법입니다. 요즘 세상에 제사도 지낼까 말까 하는데 무슨 축문이냐고 하시겠지만 인터넷에 검색 해 보시면 아직도 많은 문중에서 교재를 만들어 후손들에게 교육하는 흔적이 보입니다. 저도 이 어플은 2016년경에 처음 출시 했는데 어느 향교( 鄕校 )의 전교(典校)께서 제 어플을 보시고 한 번 만나자고 연락을 주셔서 찾아뵌 적이 있습니다. '전교'라는 직책은 향교를 관리하는 직원이자 교장선생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제 어플에서 축문을 쓰는 화면입니다. 기제사를 제외하고 전부 비활성화 되어 있는데 그것은 살아계신 부모를 제외하고는 이미 해당사항이 없기 때문입니다. 불천위를 모시는 경우를 제외하고 보통 4대봉친이 기본이므로 고조부모까지 있습니다. 축문을 쓰는 법이 이것이 전부는 아닙니다. 부모가.. 제사의 순서 제사상의 진설(상차림)과 제사지내는 순서는 지방마다 미세하게 다르기는 하지만 대동소이 합니다. 주자의 '가례' 나 율곡 이이의 '격몽요결' 김장생의 '가례집람'등의 고 문헌자료도 있으나 최근에도 '표준가례준칙' 등의 자료를 만들어 문중의 후손들을 위해 배포 하는곳도 많은 것으로 압니다. 오래되어 기억이 가물가물 합니다만 작가 최인호씨는 소설 '유림'을 통해서 현대사회를 비판하며 다시 유림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하는 내용을 읽은 기억이 납니다. 조선시대 기묘사화에 연루된 조광조가 유배갔다가 사약을 받고 죽음을 맞이하는 과정을 그린 소설입니다. 제가 만든 무료어플 '생활역학' 어플이나 '생활역학2' 를 다운받으시면 이사방위, 기제의순서, 각종제사 축문 및 지방을 쓰는 법, 등등 올려놓았으니 참고하시기 바랍.. 천을귀인 역학에서 천을귀인은 귀인 중의 귀인으로 옥당귀인(玉當貴人), 천은귀인(天恩貴人)이라고도 불리며 흉(凶) 조차 길(吉)로 바꾸어준다는 최상의 길신 입니다. 근데 천을귀인의 성립원리에 오류가 있다는 일부 의견이 있습니다. 아래는 대원명리학밴드에서 퍼 왔습니다. ------------- 여기 부터 대원명리학밴드의 내용 ----------------------------------------------- 고판본(사주첩경 1권에 언급이 있다) 甲 戊 -- 丑 未 갑무겸우양 乙 己 -- 申 子 을기서후향 丙 丁 -- 酉 亥 병정저계위 庚 辛 -- 寅 午 경신봉마호 壬 癸 -- 卯 巳 임계사토장 천을귀인 다시 확인해 봐야 한다. 天乙貴人口訣,在《淵海子平》與《三命通會》等八字書籍天乙貴人的查法裡略有不同。 歌訣: 甲戊兼牛羊.. 2021년 대장군과 삼살방위 좀 더 쉽게 어플로 설명해서 좀 어려워 보일 수 있습니다. 좀 더 쉽게 말해서 2021년 대장군은 서쪽에 2021년 삼살은 동쪽에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을 참조 하십시오. 대장군이 서쪽에 3년간 머무는데 2021년은 서서북쪽에 머물고 그 다음 3년간은 북쪽에 머무는데 (2022년,2023년,2024년은 북쪽에 머무는데) 2023년에 정북에 머문다는 의미 입니다. 삼살은 2021년은 동쪽에 있는데 음력 1월~12월 사이에 마찬가지로 서서히 움직입니다. 음력 6,7월에 정 동쪽에 머물게 되는 것입니다. 2020년에 삼살은 남쪽에 있었는데 현재 시점인 양력 2021년1월4일(음력11월21일)은 남쪽의 사(巳) 부근에 있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삼살방위 및 대장군 방위는 음력기준입니다. (명리처럼 절기기준 아닙니다.) 도움이.. 2021년 (辛丑年) 대장군과 삼살방위 내년 2021년의 대장군과 삼살방위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대장군은 2021년은 서북인 戌方에 머뭅니다. 삼살은 2021년에는 동쪽에 있게 됩니다. 보다 자세히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대장군은 시계방향으로 3년간 동남서북 방향에 머문다고 알고 있지만 사실은 그 3년동안 제자리에 있는것이 아닙니다. 2019년, 2020년, 2021년 3년간 서쪽에 머무는 동안에도 2019년은 申方, 2020년은 酉方 2021년은 戌方에 머뭅니다. 삼살도 마찬가지 입니다. 반시계 방향으로 2019년에는 서쪽에 있었고 2020년에는 남쪽에 있고 2021년에는 동쪽에 있게 됩니다. 2022년에는 북쪽에 있게 되겠지요. 대장군은 시계방향으로 돌고 삼살은 반시계 방향으로 돕니다. 위의 그림에서 2021년의 대장군은 서쪽에.. 정통풍수와 현공풍수 정통풍수와 현공풍수는 개념이 다르다. 가장 큰 차이점의 결론부터 말하면, 현공풍수에서는 지금 2024년 부터 9운이 시작되고 9운에서는 오좌자향이 명당이다. 정통풍수에서는 자고로 북향에 명당은 없다 했다. 현공에서 말하는 4대국은 왕산왕향이니...하는 것이지만 정통풍수에서 말하는 4대국은 4대수국을 말하고 이것을 배우면 다 배웠다 할 수 있다. 아무리 명당이라도 물을 보지 못하면 길흉을 말할 수 없다. 정통풍수에서 말하는 4대 수국은 乙龍,丁龍,辛龍,癸龍을 말한다. 현공풍수는 낙서 구궁에 따라 20년 마다 운이 돌아간다고 본다. 20년 x 9궁 = 180년 상원갑자60년 + 중원갑자 60년 + 하원갑자 60년 = 180 과 같다. 20년 마다 운이 돌아오는데 현재는 8운의 끝자락에 있으며, 9운은 202..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