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역학 (35) 썸네일형 리스트형 주역 팔괘 유가에서 말하는 사서삼경이라 하면 四書는 대학,논어,맹자,중용 이고 三經은 시경,서경,주역입니다. '예기'와 '춘추'를 포함해서 五經이라 하기도 하지요. 주역의 아주 기초적인 부분만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태극은 양의로 나누어 집니다. 동전이 하나의 태극이라 하면 앞면(양)과 뒷면(음)이 되는 겁니다. 쉽게 비유하기 위해 사람을 태극이라 하면 남자(양) 여자(음)으로 나누어 지겠지요. 양의에서 다시 사상으로 분화 됩니다. 남자중에서도 남자 태양, 남자인데 여성적인 남자 소음, 여자인데 남자같은 여자 소양, 여자중 천생여자 태음. 참고로 사상체질이 이렇다는것은 절대아닙니다. 태극이 팔괘까지 분화하는 과정을 이해하기 쉽게 적었을 뿐이고 사상체질과 착각하시면 안됩니다. 사상은 한 번 더 분화해서 팔괘가 됩니다.. 택일과 택시. 擇日 과 擇時. 좋은날과 좋은시간을 뽑는 법인데 저는 기문둔갑을 활용합니다. 기문둔갑배울적에 선생님께서 잠시 택일에 대해 흘리고 지나가는 얘기를 귀담아 듣고 있다가 앱에 적용시켰습니다. 위 그림에서 빨간 숫자가 날짜를 말하는데 생문(生),두문(杜),개문(開)에 해당하는 날짜가 길일입니다. 景문은 보통이지만 잔치에는 길하다고 합니다. 우측 그림은 좌측의 명반에서 팔문을 나침반 보듯이 쉽게 보라고 거꾸로 만들어 놓았습니다. 만약에 전쟁등의 난리가 나면 기문둔갑의 팔문으로 보고 생문으로 도망가면 살 수 있다고 하는데 좌측 이미지 처럼 앱으로 팔문으로 보고 생문이 태궁에 있다는것을 알아도 지금 현 위치에서 어느 방향인지 감을 잡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우측의 그림처럼 나침반 형태로 만들어 놓았습니다. 빨간 .. 이사방위 보는 법 이사를 할 때, 대장군방위 및 삼살방위 그리고 손있는 날 등을 알아야 하는데 그에 대한 설명입니다. 위의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나경 앱에 보너스 기능으로 추가하려고 만들어 놓았는데, 아직 추가하지 못 했네요. 일반적으로 기문둔갑 명반도 그렇고 자미두수도 그렇고 대개 아래쪽에 子(북쪽), 위쪽이 午(남쪽)으로 표시하지만 실제 방위에서 헷갈릴 수 있으므로 저는 일부러 반대로 표시 했습니다. 나침반 처럼 바늘로 방향을 표시해야 하니까요. 이상 그림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었습니다. 손 있는 날은 음력으로 1일은 손이 동쪽(卯)에 있고, 2일은 손이 동남쪽에 있고, 3일은 손이 남쪽,...... 이런식으로 한바퀴돌아서 8일은 손이 북동쪽에 있고 9일과 10일은 손이 하늘로 올라가 손 없는 날이 됩니다. 위의 그림..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