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효의 기초

(24)
신살_역마,도화,급각등 명리에서도 신살은 중요한 뼈대라기 보다는 세부적인 양념처럼 곁들이면 정확도가 높아지듯이 육효에서도 신살을 활용하면 적중률이 더 높아진다 합니다. 명리나 육효나 역마살은 다 동일 합니다. 신자진은 인 사유축은 해 인오술은 신 해묘미는 사 위의 삼합에 따른 역마인데 이것은 좌수지법으로 암기하면 됩니다. 신자진은 마지막글자 진 다음의 지지부터 '겁재천지연월망장반역육화' 순으로 암기하면 되지요 신자진은 사부터, 사오미신유술해자축인묘진 겁재천지연월망장반역육화 인 글자 아래에 역(역마살)이 옵니다. 나머지 삼합도 마찬가지로 암기하면 됩니다. 역마살의 기준은 일진을 가지고 봅니다. 午일은 신에 역마 입니다. 인오술은 申이 역마에 해당하지요. 5효의 역마살이 발동해서(회두생을 받아 힘이 강한) 2효 처(財)를 극합니다..
충중봉합(冲中逢合), 합처봉충(合處逢冲) 합은 취함(모이는것)이고 충은 散(산: 흩어지는것)이라 합니다. 봉(逢)은 만나다(상봉)는 말입니다. 충중봉합은 먼저 흩어져서 어려움을 겪다가 나중에 귀인을 만나(합을 만나) 일이 성사되는 것이고 합처봉충은 먼저 얻고 이루어지는것 같으나 나중에 잃게 되는것을 말 합니다. 충중봉합에 대해 예를 들어봅니다. 은행에서 자금을 융자받고자 하며 얻은 괘 입니다. 은행은 공공기관이므로 삼효 관이 용신이 됩니다. 그런데 육충괘 입니다. 묘유충,사해충,축미충을 이루고 있습니다. 그러나, 해월이 삼효 묘목을 생하고 있으며, 일진이 세효와 합(진유합금)으로 충중봉합이 됩니다. 갑진일이므로 인묘 공망입니다. 묘목이 출공한 뒤의 巳일에 사해충으로 충동해서 관을 생하니 그때에 가능하다고 봅니다. 합처봉충 돈을 빌리고자 괘를 뽑..
유혼,귀혼,삼전극 회두극은 회두생과 함께 앞에서 설명했습니다. 회두극은 동효가 화출된 변효로 부터 극을 받는것으로 기신이나 구신은 회두극이 되면 좋은데 세효나 용신은 회두극을 받으면 흉하고 만사가 어그러진다 합니다. 삼전극은 년월일이 세나 용신을 동시에 극함을 말하는데 아주 흉하다 합니다. 예를 들어 용신이 토(土)인 경우에 년지,월지,일지가 모두 묘목이나 인목인 경우 삼전극이라 합니다. 묘년, 인월, 묘일 이라던지... 아무튼 이런경우에 그 흉함은 말로 표현할 수 없다 합니다. 유혼괘와 귀혼괘는 속궁표에서 설명했습니다. 각 괘의 소속궁(속궁)의 7번째 괘는 유혼괘가 되고 8번째 괘는 다시 귀혼괘가 됩니다. 하괘가 처음 수괘와 같은 모양으로 돌아온다고 귀혼괘라고 했습니다. 유혼괘는 일정한 곳에 머물지 못하거나 하는일이 오..
암동, 충산, 삼형 암동이란 월건의 생을 받거나 왕한 효가 일진의 충(冲)을 받으면 암동(暗動)이라 합니다. 암동한 효는 동효와 마찬가지로 다른 효를 생극할 수 있습니다. 원신이 암동하면 용신을 생하지만 구신이 암동하면 기신을 생하므로 해가 크다 하겠습니다. 위의 괘는 재수점에 대한 결과 입니다. 재수점에서는 재효가 용신이 됩니다. 재수점이나 소원점에서는 용신이 극세(克世)하면 소원이 제일 빨리 이루어지고 재가 지세하고 일월의 생을 받는것이 그 다음이고 용신이 발동해서 생세 하는것이 그 다음이라 합니다. 재효가 발동해서 세효를 극해와야 하는데 위에서는 손효가 발동했고( 회두극 ) 세효를 극하지도 않습니다. 그 다음 조건인 재가 지세하지도 않았고 응효가 재를 대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조건인 용신이 발동하지도 않았고 세를 생하..
공망, 월파, 일파 공망은 다 알아도 무한반복으로 암기해야 된다 봅니다. 공망표 및 암기법에 대해 간략히 정리 합니다. 맨 앞줄에 있는 무기경신임계는 기문둔갑에서만 쓰이므로 무시해도 됩니다. 암기는 나름대로 자기 방식대로 암기하면 되겠지요. 저는 점선을 제외하고 실선을 따라 가로로 다섯개, 세로로 여섯개 암기합니다. 표를 이미지화 해서 위치로 아는거지요. 예를 들어 '정유' 라고 하면 위에서 부터 네번째칸 좌측에서 두번째칸의 위치를 암기합니다. "갑오신 병신정유 산하화 진사공망" 까지 죽~ 이어서 암기 합니다. '기묘'라고 하면 위에서는 두 번째줄 좌측에서는 세번째의 이미지를 떠올리고 "갑술기 무인기묘 성두토 신유공망" 이렇게 암기 합니다. 가운데 있는 무토를 기준으로 충하는 오행으로 암기해도 됩니다. 만약 '무오' 라고 ..
길흉총론_4 세효와 응효 세(世)효는 자신을 의미하며 자신을 위한 모든점에서는 세효가 용신이 됩니다. 응(應)효는 상대방을 말하며 자신과 상대방의 관계를 말 합니다. 세효는 일진이나 월건 동효의 생을 받아야 길하고 형충이나 극을 받거나 공망이면 흉합니다. 1. 부효 지세 부효지세는 세효에 육친이 부효가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부효가 지세하면 일신의 곤고함이 있다 합니다. 부효가 지세하고 관귀가 발동하면 재물, 관직을 구하거나 시험에는 길하지만 신수점에서 재가 발동하면 아내,여자 문제로 구설이 발동하고 집안이 소란하게 된다 합니다. 2. 자손지세 세효에 육친이 손효가 같은 효에 있다는 말입니다. 자손이 지세하면 구관, 구직에는 불리하나 소송은 끝이나고 손효가 지세했는데 생을 받으면 일신이 편안하다 합니다. 일진점에서는..
길흉총론_3 용신과 원신의 발동 용신에 대해 다시 한 번 정리합니다. 자신을 위한 점에서는 세효가 용신이 됩니다. 부모, 문서, 시험, 집, 자동차등에는 부효가 용신이 됩니다. 형제,친구,자매,동료등의 점에서는 형효가 용신이 됩니다. 아내,애인,형수,재물,재화등의 점에서는 재효가 용신이 됩니다. 남편의 애인, 상관,관직,직장,질병등의 점에서는 관효가 용신이 됩니다. 원신은 이 용신을 생하는 육친입니다. 재물을 구하는 점에서 재효가 용신이고 재효를 생하는 손효가 원신이 됩니다. 용신이 발동하면 용신이 휴수 되어도 무방하고 용신이 발동하고 원신의 생을 받으면 모든일이 대길하다 합니다. 원신이 발동하면 원신이 발동해서 용신을 생하므로 용신이 더 힘이 세어지므로 대길하다 합니다. 육수의 발동 1. 청룡의 발동 청룡이 발동하..
길흉총론_2 아래의 그림에서 주황색 사각형 안에 있는 글자들이 육친입니다. 명리에서 십성과 같은 개념인데 식신상관은 손(孫) 정재편재는 재(財) 정관편관은 관(官) 비견겁재는 형(兄) 정인편인은 부(父) 로 표시합니다. * 육친에 대한 명칭이 기문둔갑 거의 같은데 차이가 있다면 기문둔갑은 정관을 관(官)이라 하고 편관을 귀(鬼)라고 합니다. 그럼 이 육친의 기준이 되는 나는 어디있느냐? 풍천소축괘의 속궁(소속된 궁)이 목궁입니다. 아래의 그림 우측 상단에 손목궁(巽木宮)으로 표시 되어 있습니다. 풍천소축이 손목궁이기 때문에 목을 기준으로 육친을 붙입니다. 본괘는 풍천소축이고 4효가 동해서 건위천으로 변괘가 건위천이고 변효는 4효의 양효 입니다. 풍천소축의 4효 음이 동해서 양으로 변하면서 건위천괘가 된 것이지요.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