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69)
프로그램에 '만 나이 통일법' 적용 행정기본법과 민법에  나이는 출생일을 산입하여 만(滿)나이로 계산하고 연수(年數)로 표시한다는 만나이통일법이 2022.12.27일에 공포되고 2023년 6월 28일 부터 시행이 되었습니다. 그러니까 기본적으로 '나이' 라고 하면 이제는 '만' 표시가 없어도 '만나이'의 개념이라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찬성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우리나라 나이는 세기의 개념과 같은 것으로 나를 기준으로 나이를 정하는 것이 아니고 지나가는 세월을 기준으로 나이를 정하는 것이지요.내가 2024년 12월에 태어났으면 2024년 갑진년이라는 해에 태어 났으니 1세가 되는 것이고 얼마 후에 2025년을 맞이하면 2024년에 태어나서 2025년 이라는 두 번째 해를 맞이하니  두 살이 되는 것이고띠를 기준으로 하면 용띠로 태어났는데..
궁통보감 # 3-8 삼동기토(해월) 주용신 : 병화, 보조용신 : 갑목,정화,무토 흙이 축축하고 얼어 있는 상태다.  병화 정인으로 따뜻하게 만들어서 생산하게 하며 갑목 정인으로 병화를 돕고 강한 흙을 막으며, 정화 편인과 무토 겁재로 보조한다.  겨울 기토는 흙이 축축하고 얼어 있다.  병화 정인으로 따뜻하게 하지 않으면 생산을 못 하므로 어떤 경우에도 중히 쓰며 土비겁이 많을 경우에는 갑목 정관을 참고하여 쓴다.  무토 겁재와 계수 편재는 사용하지 않는데  단 초겨울인 亥월에는 사령하는 임수 정재가 왕성하므로 이를 막기 위해 무토를 취하여 쓴다. 나머지 경우는 丙丁인수를 사용한다.  단, 정화는 찬 기운을 녹이기에는 역량이 부족한 등불이므로  木의 도움이 없으면 중요하게 쓸 수 없다. 천간에 병화 정인이 1개 투출하고 지장간에 병화가 ..
궁통보감 # 3-7 삼추기토(술월) 주용신 : 계수, 보조용신 : 병화,신금,갑목 겉은 비고 안은 채워지며 찬 기운이 일어나는 때에 있다.  계수 편재로 땅을 윤택하게 하는 한편 金기운을 빼내며  병화 정인으로 따뜻하게 하고 신금 식신으로 계수를 보좌하며 갑목 정관으로 흙을 파헤친다. 가을 기토는 만물이 수렴되어 숨는 시기로 겉은 비고 안은 채워지며 찬 기운이 일어나는 때에 있다.  병화 정인으로 따뜻하게 하고 계수 편재로 윤택하게 한다.  계수는 가을 金을 직접 설기할 수 있고 병화는 가을 金을 제극하여 土를 도울 수 있으므로 비록 가을의 곡식이라도 봄여름의 곡식같이 무성하다.  가을 기토는 계수를 먼저 쓰고 병화를 다음에 쓴다.  甲子時 戌月 己土는 土旺用事를 막론하고 進氣가 되고  戌은 火, 土의 庫이므로 사주에 火가 없더라도  天地..
성명학에 대한 소개. 프로그램에 포함된 성명학에 대해 여러 번 소개 했습니다만 가끔 문의가 있어서 자세히 남깁니다.간혹 사용법을 잘 몰라서 어려워 하는 분도 있더군요. 프로그램 실행하면 사주를 먼저 불러옵니다.다른 프로그램에서는제일먼저 성(姓)이 한 글자 인지 두 글자인지 선택하고 그 다음 이름이 한 글자 인지 두 글자 인지 선택하는 옵션이 있더군요. 그것이 잘못된것이 아니라 사용자 입장에서 필요없는 과정이 될 수 있다는 의미 입니다.제 프로그램에서는 성을 먼저 한글로 입력하면 됩니다.이 과정에서 성씨를 한글로 넣어라고 적혀있음에도 많은 사용자들이 습관적으로 한글을 한자로 변환해서넣으려고 시도하니까 작동을 하지 않는것입니다.예를들어 강씨인 경우에 '강' 이라 입력하고 엔터키 클릭 또는 돋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이렇게 팝업창이 ..
어느 겨울 밤. 우선 제가 아직 역학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보니 제 나이에 대해 궁금해 하는 분이 많습니다.참고로, 저는 1966년(병오)생 입니다.각설하고, 지금부터 약 10년 쯤 전 어느 겨울 밤이었습니다.토요일 이었는데 친구들과 스크린골프 한 게임하고 저녁  먹고  집에오니 8시30분 정도 되었더군요.집사람은 송년회 모임으로 외출중이고 아들은 거실에서 티비를 보고 있었는데그날 따라 피곤해서 일찌감치 안방에 들어가서 잠이 들었습니다.얼마나 지났을까.. 내가 잠결에 걷어찬 이불을 다시 제대로 덮어주는 듯한 느낌에 집사람인가 하며잠이 깨서 침대에 누운 상태로 졸린눈을 가늘게 뜨고 고개를 약간 들어서 발 아래를 내려다 보는데약간 열린 문 틈으로 거실의 불빛과 티비소리가 들어오고 집사람이 몸은 안방에서 빠져나간 상태..
격을 정하는 법#2 격을 정하는 법은 고수들 사이에서도 많은 이론(異論)이 있는 것으로 아는데 여기에 제가 정리한 것은 제가 배운데로 정리해서 적어놓은 것입니다. 나중에 적천수 등을 공부하고 또 다른 사람들과 의견을 나누어 본 결과대체로 월령을 기준으로 격을 정하는 방법이 많은것 같습니다. 제가 배운것은 정(正)이 많으면 편(偏)이 된다고 배웠으며그러니까, 정재격인데 재가 많으면 정재격이 아니라 편재격이  된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제 주변에서는 실제로 이렇게 보는 사람이 거의 없더군요.주위에서는 정재가 많아도 그대로 정재격으로 보더라는 이야기 입니다.제 입장에서 어느것이 맞다고 할 수 없습니다.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이론은 월지 사령을 기준으로 격을 정하면 무난할 듯 합니다.그리고 적천수에 나오는 내용대로 갑목일간이 지지..
축문쓰는 법- 조부모 축문쓰는 법 조부모 편 입니다.고조부모, 증조부모와 달리 조부나 조모 제사의 경우 두 분중 한 분은 생존해 계시는 경우도 있습니다.그래서 축문도 달라집니다. 조모는 살아계시는 경우 조부제사 축문입니다. 조부가 살아계시는 경우 조모 축문입니다. 조부모가 모두 돌아가신경우 제사 축문입니다.증조부모, 고조부모와 마찬가지로 조부제사라도 조모를 같이 모시고 조모제사라도 조부를 같이 모십니다.  여러번 강조 했듯이 생전에 고위 공직에 있었다면 직책을 적고 벼슬이 없는경우에는處士(처사-벼슬을 하지않고 숨어사는 선비) 대신에 학생(學生)으로 적어도 됩니다. 또, 일진은 제사 모시는 날의 일진을 적습니다.예를들어, 음력 1960년 2월 3일에 돌아가셨다고 하면음력 2024년 2월 2일이 제삿날이 됩니다. 이날이 입제일인..
기문둔갑 책 추천. 저는 기문둔갑을 처음에는 수봉 이기목선생님 계열 제자분인 박 수근 선생님께 배웠으며그 후에 학선 류래웅 선생님께 다시 배웠고, 학봉 강영석 선생님의 제자분의 강의를 들어 본 적 있으며강의교재도 읽어 보았고, 그 외 담곡선생, 운곡선생, 문곡선생, 태극 기문등등에 대해 직, 간접적으로경험 해 보았으며 여러 권의 수강생용 교재도 가지고 있습니다. 저에게 기문둔갑을 공부하기 위해 책을 추천 하라고 한다면 학선 류래웅 선생님의 '건곤대법'을 추천할 것이지만 추가로 최병준 선생님의 '홍국기문과 이화신수국'도추천하고 싶습니다.  수봉 이기목 선생님의 계열만 정통으로 인정하고 학선 선생님의 고려기문학회는 이단시 취급받는 경향이 있기는 하지만 제가 다 배워본 바로는 초신접기에서 미세한 차이만 있을 뿐 대동소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