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

궁통보감 # 1-7 삼추을목(유월)

728x90
반응형

유(酉)월 을목 음력8월의 을목으로

봄의 을목은 영지와 난초 여름의 을목은 벼와 곡식에 비유하며

가을(유월)을목은 붉은 계수나무라고 한다.

 

상 반월에는 계수나무 꽃이 열리지 않았으므로 계수 편인을 먼저 사용하고

병화 상관으로 조후하고 제살한다.

임수는 계수가 없는 경우에 사용한다.

 

하 반월에는 붉은 계수나무가 꽃을 피우니 햇빛을 향하는게 좋다.

병화상관으로 먼저 조후를 하고 계수를 편인으로 관인상생하게 한다.

임수는 계수가 없는 경우에 사용한다.

 

위의 내용을 정리하자면,

상반월 (음력 8월 1일 ~15일) 에는 주용신이 계수이고, 보조용신이 병화, 임수이며

하반월 (음력 8월 16~ 30일)에는 주 용신이 병화이고 계수, 임수가 보조용신이 된다.

 

병화와 계수가 나란히 투출하면 과거에 합격한다.

 

지지에서 금국을 이루면 의당 정화가 지장간에 있어야 하는데 정화가 없어서 금을 억제하지 못하면 을목이  금에게 다친다. 만약 수와 화가 없으면 이사람은 평생 고달프다.

혹은 계수를 얻으면 자식이 어머니를 만난것이니 그 사람의 일생은 풍성하다.

혹, 병화 계수가 함께 투출하고 무토가 혼잡스럽게 투출하면 이 사람은 이로공명(과거가 아닌 다른길로 공명을 이룬다.) 한다.

 

추분후에 태어나고 병화는 있으나 계수가 없으면 잠시 부귀는 있다.

만약 계수는 있고 병화가 없으면 명리는 허망한 꽃이다.

만약 사주에 병화,계수를 보지 못하면 하격이다.

 

혹, 계수가 연간이나 월간에 있고 병화가 시간에 투출하면 이름하여 목화의 문성이라 하는 것이니 반드시 높게 출세한다. 추분이후에 태어나면 바야흐르 아름다운것이다.

 

혹 상 반월에 태어나서 계수가 없으면 힘들어도 임수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데 메마른 목이라 쓸모 없으니 필연코 가난한 사주이다. 사주에 무기토가 많으면 하격이다.

 

계수를 사용하면 금이 처이고 수가 자식이다.

병화를 사용하면 목이 처이고 화가 자식이다. 임수를 사용하면 금이 처이고 수가 자식이다.

 

갑을목이 강력한 금을 만나면 혼백이 죽음으로 돌아간다. 청룡이 백호가 왕함을 만나면

또한 천하고 가난하다.(동방 인목이 청룡이고 서방의 금기운이 백호이다.)

 

을목이 유월에 태어나면 사유축 금국을 만나지 말라 부귀는 감리궁에 있고 가난한 것은 신유에서 머무른다.

을목이 금왕을 가장 피해야 한다.

감리궁이란 감궁과 리궁으로 병화와 계수를 만나야 좋고 금이 왕하면 하격이라는 것의 부연설명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