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

궁통보감 # 1-7 삼추을목(신월)

728x90
반응형

번호 #1-7 가을 을목 입니다.

번호에 #1-7에 대해 다시 설명 하자면

앞자리 숫자 1은 목(갑,을)의 의미 이고 뒷자리는 갑목의 춘하추동은 1,2,3,4 을목의 춘하추동은 5,6,7,8

화는 2가되고 병화는 1~4, 정화는 5~8 입니다.

쓸데없이 복잡해 보입니다만 책의 목차를 따르다 보니 그렇게 되었네요. 

홍기수처럼 천간에 1~10까지 붙이고 춘하추동을 1,2,3,4 로 했더라면 훨씬 직관적이지 않았을까 합니다.

 

가을의 을목은 서늘한 금기운이 사령하므로 먼저 상관인 병화로 조후하고 뒤에 계수를 사용하는데

술월(9월)은 오로지 계수만 사용하는데

병화가 무토를 도와(화생토) 병(病)이 되는 것을 두려워 하기 때문이다.

 

7월 을목은 신의 지장간에 경금이 있는데 을목과 을경합을 하고자 하나 을경합을 하기 어렵다.

경금이 많으면 을목이 합하는 정을 모두 받기 어렵다.

이 경우 천간에 병화 상관이 투출하여 경금을 약화시키고 기토 편재가 경금을 묻으면 크게 귀하게 된다.

즉, 기토가 투출하고 병화가 화생토로 도우면 상격의 사주로 신월 을목은 기토가 있으면 좋다.

병화와 계수가 없는 경우 기토가 있어야 하며   기토를 쓰는 경우 화가 처이고 토가 자식이다.

 

신월 을목에 계수 편인은 투출하고 병화상관은 지장간에 있으며 경금 정관이 약한 경우 기토 편재를 사용하지 못하지만 재무을을 사용하여 벼슬을 얻을 수 있다.

병화는 없고 계수만 투출하면 낮은 관리가 된다.

지장간에 경금이 많이 있고 계수도 지장간에만 있고 병화와 기토가 없으면 평범한 사람이다.

 

신월 을목에 경진시에 태어나면 합화격(종화격)이 되어 부귀한다.

합화격은 생하는 기운을 용신으로 하므로 합하여 금이 되는 경우 무토를 용신으로 한다.

이 경우 병정화가 오아성해서 화합하는 금을 극하는 것을 꺼리며, 무토를 용신으로 하는 경우 화가 처가 되고

토가 자식이 된다 

그 밖에는 금이 처이고 수가 자식이 되는데 이 경우 처는 지혜롭고 아름다우며 자식은 능력이 있고 예의 바르다. 합화격은 형충을 두려워 한다.

 

 

지현의 벼슬로 이는 을경합화격이다.

처는 어질고 자식은 아버지를 닮았다.

 

아래은 기문둔갑 프로그램으로 포국 후 해단화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