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

궁통보감 # 1-4 삼동갑목(자월)

728x90
반응형

자월의 갑목은 목의 성질이 한기를 생하니(목이 차가워지므로) 정화를 먼저 사용하고 뒤에 경금을 사용한다.

병화는 식신으로 계수 정인을 다스린다.

계수가 사령하여 권세를 맡으니 화금이 병이다.

(자월은 계수가 사령하여 경금의 기운을 설기하고 정화를 충하므로 화금의 병(病)이 된다.

경금 정화가 모두 투출하고 지지에 사, 인을 보면 과거에 급제한다.

(巳, 寅을 보면 풍수가 도와주지 않아도 공명을 이룰수 있다.)

만약 계수가 투출하여 정화를 다치고 있는데 무기토가 와서 구하지 않으면 질병으로 몸이 이지러진다.

혹은 임수가 거듭 투출하고 정화가 없으면 평범한 사람이나 병화를 얻으면 비로소 묘함을 얻는다.

(병화를 얻으면 병임충으로 임수가 있어도 정화를 쓸 수 있다는 말)

 

혹 지지에서 수국을 이루고 임수가 투출하여 보태어지면 말하기를

수가 넘실거려 목이 뜨는 것이니 죽어서도 관이 없다.(사무관곽)

 

11월의 갑목은 차가운 초목의 가지 이다.

춘목의 맑고 무성함에 비교할 수 없다.

오로지 경금과 정화를 취한다.

임수가 투출하고 병화가 없으면 서류를 베끼는 말단관리에 불과하다.

군인이라면 좋을 수 도 있다.

 

경금을 사용하면 토가 처이고 금이 자식이다.

화를 사용하면 목이 처이고 화가 자식이다.

 

인수격이다.

 

정갑경병

묘오자자

경금정화가 투출하고 병화가 한기를 제거하니 관직이 왕후에 이르렀다.

 

경갑무을

오진자사

대장군의 명조

 

임갑무을

신진자사

한 무리의 신자진 수국에 임수가 투출하니 신운에 물에 빠져 죽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