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월의 갑목은 경금 정화를 필요로 하며 병화는 그 다음이다.
꺼리는것은 임수가 건록의 자리에 있어 갑목을 괴롭히는 것인데(수다부목) 무토로 극제하여야 한다.
만약 경금정화가 다 투출하고 더불어 무토가 천간에 투출되면 부귀함이 지극할 것이다.
그러나 정화 상관이 적으면 부귀가 작다
갑목이 많아 무토를 극하는 군겁쟁재이면 토생금을 못해 경금의 뿌리가 잘라지므로 보통사람에 불과하다.
경금과 무토가 토출하면 비겁이 있어도 재물이 있고 오래 산다.
해월 갑목에 비겁이 많은데 경금 칠살이 천간에 1개 투출하면 칠살이 약하므로 건록 위에 있거나 재성으로 약한 살을 생해야 한다.
이때 갑목은 약한 경금을 녹이는 정화 상관을 버리고 부특이 경금칠살을 쓰며 약간의 부귀는 이룰 수 있다.
해월 갑목이 신금이나 해수를 보고 무기토가 힘을 얻으면 무기토가 해중 지장간 임수를 제극하고 신중 경금을 생하여 칠살과 정화 상관을 쓸 수 있으므로 공명을 이룬다.
그러나 천간에 기토 하나만 투출하면 힘이 없으므로 단지 재물을 바쳐서 공감(貢監) 같은 작은 벼슬을 얻을 뿐이다.
해월 갑목의 용신은 경금칠살과 정화 상관을 쓰는 것이다.
경금을 쓰면 토가 처이고 경금이 자식이며, 정화를 쓰면 목이 처이고 화가 자식이다.
갑갑을기
자자해사
금토가 마땅한 위치를 얻으니 관직이 일품에 이르렀다.
병갑신임
인술해진
오로지 무토를 사용하니 먼저 가난하고 뒤에 부자가 된다.
이 사주는 등불앞에서 검을 휘두르니 다른길로 벼슬이 봉해졌다. 처는 어질고 자식은 잘 났다.
을갑계무
해자해진
무토가 천간으로 투출하여 흐르믄 물을 제지하니 말하기를 육갑추건격이라 한다.
관직이 제후에 봉함에 이르렀다.
* 육갑추건격 갑일생(여섯 갑일생)이 을해시에 나고 巳 나 亥를 육합하는 인이 없거나 해가 많으면서
인,사 가 없는 격이다.
추가적으로,
건방(乾方)은 해궁(亥宮)이다. 육갑일에 태어난 사람이 해수를 많이 보면 이 격이 성립되나 관살이 있으면 이 격이 아니다.
육갑일주(갑자 갑인 갑진 갑오 갑신 갑술)가 주 중에 해수가 많아야 하는데 이 해수는 천문의 자리이고 갑목이 장생하는 자리이다. 갑일에 태어나고 해수가 많으면 자연히 부귀하게 된다. 사화가 충하는 것을 꺼린다.
이는 갑목의 록은 인목에 있으니 인목과 해수가 합하므로 합록이라고 말하고 재성과 인목 사화를 꺼리며 세운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운에서 재성이 왕한 곳을 만나면 관재와 환난이 찾아온다.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통보감 # 1-4 삼동갑목(축월) (0) | 2022.02.26 |
---|---|
궁통보감 # 1-4 삼동갑목(자월) (0) | 2022.02.24 |
궁통보감 # 1-3 삼추갑목(술월) (0) | 2022.02.05 |
궁통보감 # 1-3 삼추갑목(유월) (0) | 2022.02.04 |
궁통보감 # 1-3 삼추갑목(신월) (0) | 2022.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