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

궁통보감 # 1-2 삼하갑목(오,미월)

728x90
반응형

오미월(午,未月)의 갑목은 허약하고 불에 타기 쉬우니 오미월을 같은 이치로 본다.

오월 갑목은 계수를 먼저쓰고 정화 상관으로 보좌하며 다음으로 경금 칠살을 쓴다.

미월 갑목은 삼복중에 한기가 생하여 정화가 물러나므로 먼저 정화상관을 사용하고 칠살로 보조한다.

팔자중 계수가 없어도 마찬가지다.

오월의 갑목에 계수 정인이 부족할 경우 정화 상관을 쓸 수 있지만 운이 水로 흘러야 한다.

오미월에 갑목이 정화를 쓰는경우 대운이 水로 흐르면 죽지는 않는다.

그러나 火로 흐르면 진상관격이 되어 목이 타서 재가 되는 형상이므로 죽는다.

대운이 金으로 흐르면 갑목은 상관월에 관살을 만나므로 재앙이 많다.

대운이 木으로 흐르면 좋고 水로 흐르는 것이 그 다음이다.

 

팔자에 용신의 글자가 많은 경우 이를 극제하는것은 좋지않고 설기해야 좋다.

예를 들어 상관이 용신인데 상관이 많으면 인수로 상관을 극하는 것 보다는 재성으로 상관을 설기하는것이 좋다.

 

오미월의 갑목일간에 목이 왕성하면 경금을 먼저쓰고 경금이 왕성하면 정화를 먼저쓴다.

오,미월에 계수와 경금이 모두 투출하면 상격의 사주이다.

정화가 천간에 투출하면 목화통명으로 큰 부귀를 이루지만 정화와 계수가 너무 많은 경우는 보통사람이다.

 

만약 사주중에 금이 많으면 칠살은 많고 일주는 약한 것이니 먼저 부자이나 나중에 가난할 것이다.

운의 흐름이 도우지 않으면 가난하거나 요절한다.

 

혹은 경금이 많아도 한 두 개의 병정이 있어서 극하고 있고 임계수가 투출하여 금의 기운을 설기하고 있으면 먼저 가난해도 뒤에 부유해진다.

 

사주에 병화가 많은데 정화가 또 보태고 관살을 보지 않았다면 오히려 맑고 귀한것이 된 것이다.

그러나 세운에서 水를 보는것은 마땅하지 않으며 만약 사주중에 임수가 있고 운에서 수를 만나면

가난하거나 일찍 죽는다.

 

대체적으로 목화상관격인 사람은 총명하고 지혜롭다. 그러나 편고를 면할 수 없어 사람을 볼 때마다 마음이 다르고 의심이 많다. 사람을 해치지는 않지만 시기와 질투심이 강하다. 여자인 경우도 동일하다.

 

오미월의 갑목에  월간과 시간에 기토가 있으면 갑일간이 동시에 합하려고 하기때문에 남자는 분주하고 여자는 음란하다. 갑이 하나 더 있으면 다투려하지는 않지만 보통사람이다.

 

만약 지지에 변화를 일으키는 용인 진토가 있고 천간에 2개의 기토와 갑목이 있으면 부귀하다.

미월 갑목이 지지에 진토가 있고 천간에 기토가 있으면 갑기합화격이 된다.

이 경우 희신인 계수가 처, 정화 식상이 자식이다. 또 2개의 기토가 하나의 갑목과 합하려고 하는경우 지장간에 있는 비겁을 용신으로 삼는다.

갑을목이 용신인 경우 희신인 임계 인수가 처, 용신인 갑을이 자식이다.

경금이 용신이면 희신인 토가 처, 용신인 금이 자식이고 정화가 용신이면 목이 처, 화가 자식이다.

여자는 처를 남편으로 보면 십간이 모두 동일하다.

 

갑목을 돕는 을목이 없고 오미월 갑목이 기토만 보고 무토를 보지 못하면 가종(假從)이 되어 평생 머리를 숙이고 처자를 겁낸다.

인수인 水가 없으면 재다신약으로 평생 가난하다.

오월 갑목은 수 인수가 더 필요하지만 미월 갑목은 지장간에 을목 뿌리가 있어 덜하다.

 

  

기 경 신 임 계 갑 을

해 자 축 인 묘 진 사

 

갑목 일간이 사오미 화 식상국을 만나고 병정화가 투출하여 목화통명에 진 상관격이다.

인수와 비겁이 필요하며 자중 계수가 용신으로 지지에 용신이 있으므로 원기암장이라고 한다.

진상관인경우는 인수와 비겁운이 좋다. 계수운에 크게 발전하여 시랑벼슬을 하였다.

 

* 시랑은 차관급보다 약간 낮은 계급

 

신 갑 신 갑 건명

미 자 미 진

 

무 정 병 을 갑 계 임

인 축 자 해 술 유 신

 

양간 부잡격으로 일지 자수를 용으로 평생 부귀하였다.

자수는 일간을 유력하게하고 미토를 윤택하게 하여 신금을 생한다. 사주가 중화되고 운이 서북으로 달려 운이 용신을 도왔다.

 

무 갑 계 을

진 자 미 사

 

병 정 무 기 경 신 임

자 축 인 묘 진 사 오

용신 정화가 기력이 없어 파괴되므로 부귀하였으나 자식이 없었다. 미토중 정화가 월간 계수에 개두(蓋頭)되었고  지지는 신자진 수국이 되어 용신이 역할을 할 수 없었다.

 

* 개두 : 원래 의미는 국상때 머리에 쓰는 상복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머리를 덮어 눌렀다는 의미로

천간이 지지를 극하는 상황. 천간이 지지를 덮어 눌러버렸다는 의미

 

병 갑 신 갑 건명

인 술 미 신

 

무 정 병 을 갑 계 임

인 축 자 해 술 유 신

 

경금은 신금에게 건록이 되므로 상서벼슬을 하였다. 건록에 재관을 쓰는 명이다.

재성인 술미가 년지 신금을 생하고 신중 임수가 토를 자윤한다.

그러나 시의 병화가 투출한 신금을 묶고 인신충이 되어 흉사 하였다.

 

무 갑 을 신 곤명

진 술 미 사

 

임 신 경 기 무 정 병

인 축 자 해 술 유 신

 

여자의 사주로 세 번 시집가고 자식이 없었다.

오행중 금수가 희용신이면 남편 신금이 투출하여 남편과 인연이 없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갑목을 생해줄 계수는 암충이 되고 무토가 개두(蓋頭)하였다 

또 팔자에 조토의 세력이 강해 용신인 계수를 제극하니 생기가 전혀 없는 갑목이 되었다.

용신이 무력하니 자식이 없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