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월의 갑목은 목의 기운이 약하며, 경금 칠살을 먼저쓰고 임수 편인으로 경금의 기운을 약하게 만들어
목을 돕는다.
진월의 갑목에 경금과 임수가 함께 있으면 등과(登科 - 고시에 합격)한다.
병화가 있으면 경금을 보는것이 좋고 (임수는 없어도 된다.)
무토를 같이보면 식신생재되어 대부대귀한다.(무토와 기토가 같이 있으면 나쁘다)
진월의 갑목이 경금이 1~2개 있으면 임수 식신을 취하여 재주와 학식이 뛰어나다.
천간에 병화가 2개 투출하고 경금이 지장간에만 있는 경우 제살태과로 경금의 날이 무디어 부귀를 이룰 수 없다.
임계수가 투간되어 불기운를 꺼버리면 경금이 너무 강하여 (적당히 화극금 해 줘야 하는데)부귀와는 거리가 있다.
진월갑목에 재성인 무기토가 천간에 있고 목 비겁이 많으면 군겁쟁재의 형상이다.
군겁쟁재는 재물을 놓고 여러명이 다투는 형국으로 늙도록 고생하며 부귀를 말하기 어렵다.
진월갑목에 인수인 水가 없고 무기토 재성이 천간에 투출하며 지지가 토재성국이 되는 경우에는
기명종재가 된다.
기명종재가 되면 다른사람의 도움으로 부귀를 얻고 처자가 능력있는 사람이다.
* 기명종재는 사주구조상 나를 포기하고 왕한 재를 따라 가는것을 말한다.
갑목에 지지가 금관살국으로 관살이 왕한 경우에는 정화를 용신으로 하지만
그 밖의 경우에는 정화를 용하지 않는다.
진월의 갑목은 경금이 주 용신이고 보조용신이 임수 이다.
이 사주는 정화가 없어서 남방운에 들어가는 것이 좋은데 부귀가 크지는 않다.
팔자에 경금칠살이 왕성하므로 화(火)식상으로 다스려야 하는데 병화보다는 화롯불인 정화를 쓰는것이 좋다. 투출한 정화(丁火)가 없으므로 남방운으로 가는것이 좋으나 부귀가 크지않고
서방운인 신유술운에 실패한다.
시 일 월 년 건명
丙 甲 壬 丙
午 辰 辰 寅
왕성한 갑목이 용신 경금을 만나고 진토가 오화를 설기하며 임수가 투출하여 중화를 이룬 명으로 상서 벼슬을 하였다.
* 상서벼슬은 정3품으로 현대사회에 차관급 바로 아래의 품계정도에 해당한다 합니다.
정 갑 임 병 건명
묘 진 진 인
경금 칠살이 없으므로 정화 상관을 써서 왕성한 목기를 빼내어 목화통명을 이룬다
높은 벼슬에 오르는 귀한 사주로 정화가 없으면 보통사람에 불과하다.
무 갑 갑 임 건명
진 인 진 오
갑목일간이 인목의 자리에 앉아 (간여지동) 왕성한데 이를 제극할 경금도 없고 설기하는 화 식상도 없다.
임수도 멀리 있어 도움이 되지 않는다.
왕성한 비겁이 재성을 치는 군겁쟁재의 상이므로 승도가 아니면 자식이 없는 사람이다.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통보감 # 1-2 삼하갑목(오,미월) (0) | 2022.02.03 |
---|---|
궁통보감 # 1-2 삼하갑목(사월) (0) | 2022.02.02 |
궁통보감 # 1-1 삼춘갑목(묘월) (0) | 2022.02.02 |
궁통보감 # 1-1 삼춘갑목(인월) (0) | 2022.01.31 |
궁통보감 #1 論木 (0) | 2022.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