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

궁통보감 # 1-2 삼하갑목(사월)

728x90
반응형

사월의 갑목은 목의 기운이 물러나는 시기이니 병화가 권한을 잡아 먼저 계수를 쓰고 나중에 정화를 쓴다.

사월의 갑목에 경금이 지나치게 강하면 목의 기운이 약해지므로 임수를 얻어서 경금을 설기시키면

중화가 된다. 이 경우 위인의 성격은 맑고 높지만 사월의 장간 화토가 있으므로 조토라서 금을 생하는 힘이

떨어지므로 겉보기만 부귀하다.

또 임수는 인수이므로 조상의 음덕으로 발전하지만 결국은 실패한다.

말하기 글쓰기를 좋아한다.

사월 갑목이 팔자에 경금1개와 병화 2개 있으면 약간의 부귀를 이룰 수 있지만

금도 많고 화도 많으면 갑목에 대한 극설이 겹치는 이른바 '극설교집(剋洩交集)'으로 하격이다.

 

사월 갑목에 계수와 정화와 경금이 모두 천간에 투출한 경우는 경금의 생조를 받는 계수가 자윤하고

정화가 갑목의 수기(秀氣)를 나타나게 하여 벼슬을 하며 풍수가 나쁘더라도 탁월한 재주가 있다.

정화,경금ㅇ은 투출하였으나 계수가 투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재물로 벼슬을 사거나 다른 방법으로 관직에 나아간다.

사월 갑목에 임수가 투출하면 큰 부자이다.

만일 수가 전혀 없는데 경금과 정화도 없고 한 무리의 병화와 무토만 있으면 하천한 위인이다.

 

사월 갑목은 나무가 마르므로 계수를 먼저 쓴다.

경금이 있어야 살인상생이 된다.

정화는 경금의 예기를 제한다. 그래서 필요하다.

사월은 금의 장생이다. 계수로 설하고 정화로 제한다.

계수가 없고 금,화만 많으면 하격이다.

계수가 투간되지 않고 지지에 감추어져 있어도(갑자,갑진일주)부귀인이 된다. 이때는 타향으로 가야 한다.

임은 호수이므로 경금의 기를 설한다 해도 부귀일 뿐 인격은 저하된다.

 

천간에 을목이 투출하여 양쪽에서 보좌하고 지지에 인해합이 되므로 갑목일간이 왕성하다

이를 정화의 상관으로 설기하여 명부의 벼슬을 하였다.

 

 

 

시 일 월 년 건명

庚 甲 乙 丁

午 辰 巳 卯

 

戊 己 庚 辛 壬 癸 甲

戌 亥 子 丑 寅 卯 辰

 

갑목이 수고(水의 庫)인 印庫에 앉아 (진토는 갑목의 인수인 수의 창고) 약하지 않으며 경금 칠살과 정화상관이 투출하여 중화되었다. 진사벼슬을 하였다.

 

甲 甲 癸 丙  건명

子 戌 巳 午 

 

庚 己 戊 丁 丙 乙 甲

子 亥 戌 酉 申 未 午

 

계수가 투출하고 자,술 사이에 해수가 공협되어 있으며 시간이 갑목 일간을 도와서 약하지 않다.

그러나 년간 병화가 월령을 얻고  지지 사오를 깔고 있어 설기가 심한것이 병이다.

월간 계수가 병화를 제극하면서 일,시의 갑목을 생조하므로 용신으로 삼는다.

운이 용신을 돕는 금수운으로 흘러 크게 귀하다. 

 

丙 甲 癸 丙 건명

寅 子 巳 午

 

庚 己  丁 丙  

  戌 酉 申 未 午

 

화토가 계수를 말려서 오운에 눈이 상하고 이후 거지가 되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