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외격(外格)
격을 잡는법에서 정리한 10정격외에 종격,일행득기격,화격등은 일반적으로 격을 정하는 원칙을 따르지 않고 특별하게 격국용신을 정하므로 외격이라 합니다. 현재의 추세는 외격을 무시하고 10정격안에 포함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만 필자가 배운것을 정리하는 과정으로 외격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외격은 크게 종격, 일행득기격, 화격,양신성상격, 사정격,사생격,사고격,사맹격,천원일기격,잡격이 있는데 종격에는 종살격,종재격,종아격등이 있고 일행득기격은 곡직격,염상격,가색격,종혁격,윤하격이 있으며, 화격(化格)은 갑기합토 화격, 을경합금 화격, 병신합수 화격, 정임합목 화격, 무계합화 화격이 있습니다. 잡격(雜格)에는 현무당권격,정란차격,구진득위격, 육임추간격,임기용배격, 육음조양격, 육을서귀격, 비천록마격,자요사격,축요사..
12. 격을 정하는 법
사주의 격을 정하는 법은 여러가지 이견(異見)이 있으므로 일단은 제가 배운데로 정리 하고자 합니다. 사주의 격(格)은 크게 내격와 외격이 있고 내격은 팔정격(정관격,편관격,정인격,편인격,정재격,편재격,식신격,상관격)이 있고 외격은 양인,건록, 종격(종살,종재,종아,종세,종강,종왕)염상격,윤하격,종혁격,곡직격,가세격,화격,괴강격등등이 있으나 내격이 기본이고 외격은 근래에 와서는 다 무시하는 경향이 있으나 참고로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내격의 8정격에 양인격,건록격을 추가하여 10정격으로 보기도 합니다. 격을 정하는 방법은 월지에서 투간된 것을 정한다. 월지에서 투간된 것이 없으면 월지 자체를 격으로 정한다. (시지,년지,일지 순으로 투간된 것을 정한다는 이론도 있습니다.) 격은 월지 지장간에서 투간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