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역학

축문(祝文) 쓰는 법.

728x90
반응형

축문 쓰는 법입니다.

요즘 세상에 제사도 지낼까 말까 하는데 무슨 축문이냐고 하시겠지만

인터넷에 검색 해 보시면 아직도 많은 문중에서 교재를 만들어 후손들에게 교육하는 흔적이 보입니다.

 

저도 이 어플은 2016년경에 처음 출시 했는데 어느 향교( 鄕校 )의 전교(典校)께서 제 어플을 보시고

한 번 만나자고 연락을 주셔서 찾아뵌 적이 있습니다.

'전교'라는 직책은 향교를 관리하는 직원이자 교장선생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제 어플에서 축문을 쓰는 화면입니다.

기제사를 제외하고 전부 비활성화 되어 있는데 그것은 살아계신 부모를 제외하고는 이미 해당사항이 없기 때문입니다.

불천위를 모시는 경우를 제외하고 보통 4대봉친이 기본이므로 고조부모까지 있습니다.

 

 

축문을 쓰는 법이 이것이 전부는 아닙니다.

부모가 먼저 세상을 떠나는것은 어쩔 수 없는 순리이나 다른 불행한 일이 생기면 안되겠지요.

그래서 그런 축문은 몰라서 어플에서 제외한 것이 아니고 그런 일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제외시켰습니다.

 

참고로,  고조부 위로 5대조는 현조(玄祖) 또는 천조( 天祖 )라하며

6대조는 열조 (烈祖)  7대조는 태조 (太祖)  8대조는 원조 (遠祖) 9대조는 비조(鼻祖)라 칭하는데

고조부까지만 알고 있으면 됩니다. 

 

반대로 손자의 아들은 증손(曾孫) 그 다음은 현손(玄孫) 그 다음은 내손(來孫) 그 다음은 곤손( 晜孫 )

그 다음은 잉손(仍孫), 운손(雲孫), 이손(耳孫)으로 내려가는데 현손 까지만 알고 있으면 됩니다.

 

어플에 보면 날짜를 선택하는 부분이 있는데요

간혹 "돌아가신 날짜를 선택하려니 안나와요" 하고 질문하는 분이 있습니다.

저 날짜는 제사를 모시는 현재의 일진과 당월 초하루 일진을 알기위한 날짜이며

돌아가신 날의 일진을 알기위함이 아닙니다.  

 

<고조부모 축문>

기본 골격은 같습니다.

증조부모 축문이라면 고조를 증조로 수정하고 효현손을 효증손으로 바꾸면 됩니다.

조부모이면 조부모로 바꾸고 효손으로 바꾸면 됩니다.

부모인 경우는 많이 달라지지요. 효현손은 효자로 바꾸고 다섯째 줄에 '불승영모'를 '호천망극'으로 

바꾸어야 합니다.

 

주의할 점은 처사(處士)는 벼슬하지 않고 숨어사는 선비라는 의미로 학생(學生)으로 대체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조부가 '군수'라는 직책을 지냈다면 '현조고군수부군신위'로 직책이 들어갑니다.

이 때 '효손자'나 '효자'라는 말은 맏이라는 뜻이며 효성이 지극한 것과 무관합니다.

제사의 책임이 있는 큰 아들이라는 의미의 효(孝) 입니다.

 

1. 유(維) : 이제  

2. 세차 : 해가 이어져 내려온다. 

3. 갑진 : 태세. 즉 2024년은 갑진년이므로 갑진이라 쓰는데

1월 30일 현재 명리에서는 아직 계묘년이나 제사 축문에서는 음력을 기준하므로 갑진년이 됩니다.

4. 12월 기사삭 : 돌아가신 달의 금년의 초하루 일진이 '기사일'

5. 20일 계사 : 돌아가신날과 금일의 일진(제사지내는 날의 일진)

6. 효현손 아무개 : 맏이 효. 제사를 제낼 의무가 있는 현손자  이름

7. 감소고우 : 삼가 밝게 고합니다.

8. 현 : 모시는 대상이 손위사람인 경우.

9. 고조고처사부군: 고조부. 처사의 의미는 설명했음. 관직이 이름이 없는 경우 처사나 학생으로 기재.

10. 현고조비유인 본관성씨 : 고조할머니의 본관과 성을 적음.

예)  현고조비유인밀양박씨 

11. 세서천역 : 해가 바뀌어

12. 휘일부임 :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13. 추원감시 : 세월이 흐를수록 생각이 난다.

14. 불승영모 : 흠모하는 마음을 이길수 없다. 부모에게는 불승영모대신 호천망극이라 함.

15. 근이 : 삼가

16. 청작서수 : 맑은 술과 여러 음식

17. 공신전헌 : 공경을 다해서 올리니

18. 상향 : 흠향 하십시오~

 

유세차는 '아~ 세성(목성이)이 어느 어느 차에 위치하는' 으로도 해석 하기도 합니다.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우리 별자리' - 안상현 현암사에 나온 책 참조

 

그랬더니 누가 이렇게 질문을 하더군요.

목성은 공전주기가 약12년인데 어떻게 매 년 볼 수 있다는 말인가요?

이것은 공전궤도가 심하게 찌그러진 타원형으로 공전하는 헬리혜성같은 별과 착각하기 때문입니다.

목성은 지구와 마찬가지로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궤도가 거의 원형에 가깝습니다.

일부 자료에 보면 케플러 법칙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 럭비공처럼 타원형으로 공전궤도를 그려놓았지만

실제로는 거의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입니다. 

그래서 매 년 목성을 볼 수 있는데 다만 그 목성의 위치가 달라질 뿐입니다.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회전목마에 아이가 타고 돌고 있고 그 아이의 부모가 회전목마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목마 밖에서 천천히 걸어가며 아이를 지켜보고 있다고 가정 해 봅니다.

부모가 회전목마를 한 바퀴 돌 때 아이가 탄 회전목마는 12바퀴를 돈다고 가정하면

회전목마에 탄 아이는 매 바퀴를 돌 때 마다 부모와 만날 수 있는데 다만 아이가 부모를 추월하는 위치만 달라질 뿐이지요.

 
728x90
반응형

'생활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을 쇠다.  (0) 2024.02.08
입춘대길.  (0) 2024.02.04
제사의 순서  (4) 2024.01.29
천을귀인  (0) 2021.07.15
2021년 대장군과 삼살방위 좀 더 쉽게  (0) 2021.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