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사주명리기초공부

6. 십이운생

728x90
반응형

십이운생이란 인생순환 과정을 12단계로 표현한 것으로 천간과 지지의 조화라 할 수 있으며, 사주에서 천간과 지지가 십이운성에 대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에 따라 그 육친의 길흉을 알 수 있다 합니다.

 

인생이 태어나서 출생의 기쁨을 누리는 것이 장생(長生).

기어다니며 미운짓 할 때를 목욕(沐浴).

자라서 학교에 다니며 정신적으로 미숙하나 육체적으로 성장한 때를 관대(冠帶).

학교를 졸업하고 직장생활 하거나 사업을 시작하는 단계를 건록(建祿).

재산을 모으고 힘이 넘치고 왕성한 시기를 제왕(帝旺).

왕성한 시기를 지나 차츰 약해지는 시기를 쇠(衰).

약해져서 육체가 병이드는 시기를 병(病).

병이 들어서 결국은 죽게 되는 것을 사(死).

죽어서 묘지에 들어가는 것을 묘(墓).

무덤에 들어가고 찾는이가 없고 인생이 끊어지니 절(絶).

다시 인생이 잉태가 되는 것을 태(胎).

어머니의 자궁속에서 양육되는 것을 양(養).

 

위와 같이 양에서 다시 장생으로 출생하는 것을 12운생이라 하는데 사주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보조자료가 될 수 있으나 그렇다고 이것을 위주로 간명하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세심하게 살펴야 한다고 합니다.

 

 

 

 

위 표와 같이 장생,목욕,관대,건록,왕,쇠,병,사,묘,절,태,양 순으로 외우면 되는데 어려워 보여도 12지지의 순서대로 또는 역순으로 외우면 되기 때문에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위 표를 보는 방법은 甲木이 亥月에 태어나면 장생(長生)이 됩니다.

또, 戊土가 午月에 나면 제왕(帝旺)이 됩니다.

 

간단하게 사례를 설명하면, 甲木이 申月에 태어나면 절(絶)지가 됩니다.

 

ㅁ 甲 ㅁ ㅁ

ㅁ 申 申 ㅁ

위와 같이 申月에 태어난 甲申일주는 절지에  태어나 장애자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다 그렇게 되는것은 아닙니다.

 

위의 표를 간단하게 외우는 방법은 좌수지법을 이용하면 됩니다. 즉,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손가락을 짚어 나가는 방법입니다.  좌수지법은 나중에 다시 정리하겠습니다.

 

이제 지장간에 대해서 정리를 하고나면, 실제 사주를 세우는 방법을 정리 하겠습니다.

 

* 위의 표를 쉽게 외우는 방법을 정리 합니다.

 우선 12운성(12운생)을 다 순서대로 다 암기하고 있다고 가정합니다. 그리고좌수지법을 안다고 가정합니다.

 

 

 

양간 : 갑,병,무,경,임 은 위의 표에도 있지만 丙火와 戊土는 12운생의 변화가 동일합니다.

음간 : 을,정,기,신,계 에서도 丁火와 己土는 같이 움직입니다.

 

 

양간은 아래의 그림처럼 배치합니다.

 

 

 

위 그림에서 시계방향으로 12운생을 순행합니다.

즉, 甲木은 亥에서 부터 시계방향으로 장생-목욕-관대-건록-왕-쇠-병-사-묘-절-태-양의 순이 됩니다.

甲木은 亥(약지하단)에서 장생이 되고 검지하단(위 표에서 丙,戊 가 있는 자리)에서 건록이 됩니다.

 

음간은 아래와 같이 배치합니다.

 

   음간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역행하면서 12운생을 돌면 됩니다.

  즉, 癸는 卯에서 장생이 되며 시계반대 방향으로 장생-목욕-관대-건록.....양 의 순으로 역행하면 됩니다.

  癸는 검지하단(寅의 자리)에서 목욕이 되고 중지하단(丑)에서 관대가 되며, 약지의 하단(子의 자리)에서 건록이 되고 새끼손가락 하단(亥)에서 제왕(왕)이 됩니다.

 

  정리하면, 갑,병,무,경,임 - 시계방향. 을,정,기,신,계- 반시계방향 이것만 기억하면 위의 표를 다 외울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사주명리 > 사주명리기초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천간의 합과 충  (2) 2017.11.14
7. 지장간  (0) 2017.11.11
5. 육십갑자 및 납음오행  (0) 2017.11.05
4. 24절기 (12절과 12기)  (0) 2017.11.03
3. 천간과 지지  (0) 2017.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