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임의 기초

(36)
섭해과(涉害課) 지일과는 상극하나 하적상이 두 개 이상인데 이때 초전은 양일이면 천반이 양인것이(상극하 하적상 중에서) 초전이 되고 음일이면 천반이 음인것이(상극하 하적상 중에서) 초전이 되는데 상극하 또는 하적상이 두 개 이상있으면서 양(陽)일인데 상극하나 하적상인 천반이 모두 음이거나 음(陰)일인데 천반이 모두 양인경우에는 선택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섭해과가 나오면 어려운 상황을 건너야 한다. 고 합니다. 이 경우에는 지반에 寅申四亥가 있는 과가 초전이되고 인신사해가 없으면 子午卯酉가 있는 과가 초전이되 자오묘유도 없으면 辰戌丑未 가 있는 과가 초전이 되며, 마찬가지로 중전은 초전의 음신이 중전이되고 말전은 중전의 음신이 말전이 됩니다. 섭해과의 초전의 발용은 천반이 아닌 지반을 기준으로 인신사해, 자오묘유, 진술축..
지일과(知一課) 지일과는 상극하가 두 개 있거나 하적상이 두 개 인경우에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 입니다. 그래서 지일과가 나오면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고 봅니다. 위의 과를 보면 1,2,3,4과 중에서 보면 1과는 토극수 상극하 2과는 해당없고 3과는 목극토로 하적상, 4과도 토극수 하적상입니다. 사회 현상에서 상극하가 몇 개 있거나 말거나 상극하 보다 하적상 하는 경우가 실제 사회현상에서 문제가 되므로 문제가 있는 하적상 중에서 하나를 초전으로 올려야 됩니다. 하적상이 하나만 있으면 중심과가 될 텐데 둘이 있으니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되는것이지요. 지일과는 양일(강일-剛日)에는 천반이 양인것을, 음일(유일 -柔日) 에는 천반이 음인것을 초전으로 올립니다. 흔히, 초전으로 발용(發用)한다고 표현합니다...
원수과(元首課), 중심과(重審課) 앞에서 밝힌바 있지만 육임은 한은택선생님의 자료를 많이 참고하였고, 조태운교수의 강의를 들은바 있습니다. 육임 어플을 개발할 때에도 한은택 선생님이 많은 조언과 도움이 되는 자료를 보내주셨습니다.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1. 원수과(元首課) 직접극이 있으면 원수과, 중심과, 지일과, 섭해과, 반음과 중의 하나가 되는데 직접극이란 1,2,3,4과 안에서 천지반 간에 극이 있는 경우 입니다. 아무튼 육임의 정단결과가 원수과가 되면 일단은 비교적 일이 잘 풀린다는 의미로 해석한다고 합니다. 천반이 지반을 극하는것은 임금이 신하를 부리듯이, 상사하 부하직원 부리듯이 윗사람을 아랫사람을 부리는것이라 일이 순조롭게 풀린다고 해석하는 의미라 합니다. 1과는 , 2과, 4과는 해당없는데 3과는 목극토(묘목이 축토를..
삼전 앞에서 정리한 데로 삼전(초전,중전,말전)은 초전은 일의 시작 중전은 일의 진행상태 말전은 일의결과라 했습니다. 이 삼전을 발용하는 방법은 좀 복잡한데 저도 복습하는 차원에서 하나씩 천천히 정리해 나가겠습니다. 우선 육임의 삼전은 일진 60갑자와 시간 12 지지의 조합이 전부이므로 60 X 12 = 720 이므로 720가지 경우의 수가 있습니다. 다른 역학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경우의 수가 많지는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720가지 모든 경우를 따로 메모해놓기도 하고 컴퓨터나 폰에는 720가지를 저장해 놓으면 되므로 굳이 방법을 암기하지 않아도 되지만 원리를 알아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삼전은 4과에서 대표를 뽑는것과 같습니다. 우선, 1과, 2과, 3과, 4과 안에서 같은과 안에서 천지반이 서로 극하는것..
천지반도, 사과, 삼전 흔히 육임 포국도를 보면 삼전, 사과, 천지반도 순으로 보여주는데 이로 인해서 처음 입문하는 분들은 착각하기 쉬운 요소가 되기도 합니다. 천지반도에서 사과를 구하고 사과에서 삼전을 정합니다.(발용) 육임은 월장가시(월장을 시간위에 얹음.)부터 시작합니다. 그러면 천지반도가 완성이 되지요. 아래 포국도는 진월장이고 신시에 포국했으므로 12지지의 申위에 월장辰이 올라가 있습니다. 이러면 그 후 순행으로 진~묘까지 적어주면 됩니다. 그 다음은 천장을 붙이면 되는데 천장은 귀사주합구청공백상현음후 순으로 암기하면 된다고 했습니다 12천장은 앞에서 설명했는지 모르겠는데 기문이나 육효에서 쓰이는 신살과 유사한 의미 입니다. 귀인, 등사, 주작, 육합, 구진, 청룡, 천공, 백호, 태상, 현무, 태음, 천후 를 말하며..
생극법 주식투자 활용 육임 생극법으로 주식투자에 활용합니다. 주식관련 책을 몇 권 읽고 시작한 것은 십 년도 넘었지만 워낙 소액으로 시작해서 크게 잃은것도 크게 번 것도 없습니다. 삼성전자 주식을 100만원대에 10주 사가지고 있다가 120만원에 다 팔아버리고 그 뒤로는 약간 공백기를 가진뒤 삼성전자가 액면분할 한 이후에 다시 시작했습니다. 종목을 고르고 살지 말지는 항상 육임 생극법으로 판단 했는데 육효보다 빠르고 명확하기 때문입니다. 금일 오전에도 기존 보유종목에 대해 추가매수 할지말지를 판단해서 매수했는데 3시까지는 파란불이더니 3시 이후부터 빨간불로 들어오더니 상승으로 마감했습니다. 아무튼 주식 투자시 육효보다 육임생극법이 추천할 만 하다 생각합니다. 물론 육효도 공부를 많이 하신분은 적중률이 높다고 봅니다. 신산선생..
선봉문 선봉문(先鋒門)은 육임 팔문중의 하나로 팔문은 선봉문(先鋒門), 직사문(直事門), 외사문(外事門), 내사문(內事門), 발단문(發端門), 이역문(移易門), 귀결문(歸結門), 변화문(變化門)을 말한다 합니다. 그 중 선봉문은 일종의 래정 입니다. 래방객이 문을 열고 들어오는 순간 "당신 OO 때문에 고생 많구만!" 하고 칼끝 처럼 예리하게 날리는 초사라 합니다. 근데 이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느냐? 대게 명리에서 내방객이 무슨 문제로 왔을까 알아맞추는 내정(래정)은 육임에서 차용한 것으로 생각 됩니다. 선봉문은 일간과 시지를 가지고 판단합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을해일 미시에 왔기 때문에 일간 을을 기준으로 보면 미는 재성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돈문제, 여자문제로 보는것이지요. 여자에게 재성은 시집이니 시가..
12 천장(天將) 앞서 진하법에 대해 정리했는데 이 진하법이 다른 용어로 지두법(指斗法)이라고 합니다. 즉, 북두칠성(斗)의 꼬리가 가르키는(指) 방향(월장)을 시간에 얹어서 진하지지를 보고 판단하는 방법이라는 의미 입니다. 12천장만은 귀찮아도 반드시 암기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간단히, 귀사주합-구청공백-상현음후 순으로 암기하면 되는데 12천장의 의미는 육임이나 기문둔갑 육효 명리 등에서 거의 동일한 의미로 쓰이기 때문에 자세히 공부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귀인, 등사, 주작, 육합, 구진,청룡, 천공,백호, 태상,현무,태음,천후 로 다시 하나씩 보겠습니다. 1. 귀인(貴人) 천을귀인을 말 합니다. 고 귀인법과 신 귀인법으로 나뉘는데 제가 만든 어플이나 PC용에는 사용자가 옵션으로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