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수과(元首課), 중심과(重審課)
앞에서 밝힌바 있지만 육임은 한은택선생님의 자료를 많이 참고하였고, 조태운교수의 강의를 들은바 있습니다. 육임 어플을 개발할 때에도 한은택 선생님이 많은 조언과 도움이 되는 자료를 보내주셨습니다.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1. 원수과(元首課) 직접극이 있으면 원수과, 중심과, 지일과, 섭해과, 반음과 중의 하나가 되는데 직접극이란 1,2,3,4과 안에서 천지반 간에 극이 있는 경우 입니다. 아무튼 육임의 정단결과가 원수과가 되면 일단은 비교적 일이 잘 풀린다는 의미로 해석한다고 합니다. 천반이 지반을 극하는것은 임금이 신하를 부리듯이, 상사하 부하직원 부리듯이 윗사람을 아랫사람을 부리는것이라 일이 순조롭게 풀린다고 해석하는 의미라 합니다. 1과는 , 2과, 4과는 해당없는데 3과는 목극토(묘목이 축토를..
천지반도, 사과, 삼전
흔히 육임 포국도를 보면 삼전, 사과, 천지반도 순으로 보여주는데 이로 인해서 처음 입문하는 분들은 착각하기 쉬운 요소가 되기도 합니다. 천지반도에서 사과를 구하고 사과에서 삼전을 정합니다.(발용) 육임은 월장가시(월장을 시간위에 얹음.)부터 시작합니다. 그러면 천지반도가 완성이 되지요. 아래 포국도는 진월장이고 신시에 포국했으므로 12지지의 申위에 월장辰이 올라가 있습니다. 이러면 그 후 순행으로 진~묘까지 적어주면 됩니다. 그 다음은 천장을 붙이면 되는데 천장은 귀사주합구청공백상현음후 순으로 암기하면 된다고 했습니다 12천장은 앞에서 설명했는지 모르겠는데 기문이나 육효에서 쓰이는 신살과 유사한 의미 입니다. 귀인, 등사, 주작, 육합, 구진, 청룡, 천공, 백호, 태상, 현무, 태음, 천후 를 말하며..
12 천장(天將)
앞서 진하법에 대해 정리했는데 이 진하법이 다른 용어로 지두법(指斗法)이라고 합니다. 즉, 북두칠성(斗)의 꼬리가 가르키는(指) 방향(월장)을 시간에 얹어서 진하지지를 보고 판단하는 방법이라는 의미 입니다. 12천장만은 귀찮아도 반드시 암기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간단히, 귀사주합-구청공백-상현음후 순으로 암기하면 되는데 12천장의 의미는 육임이나 기문둔갑 육효 명리 등에서 거의 동일한 의미로 쓰이기 때문에 자세히 공부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귀인, 등사, 주작, 육합, 구진,청룡, 천공,백호, 태상,현무,태음,천후 로 다시 하나씩 보겠습니다. 1. 귀인(貴人) 천을귀인을 말 합니다. 고 귀인법과 신 귀인법으로 나뉘는데 제가 만든 어플이나 PC용에는 사용자가 옵션으로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