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18)
출산택일은 효과가 있는가? 이런 질문을 많이 받기도 하고 많이 들어보기도 한 것 같다. 어느 역학자는 방송에 나와서 출산택일은 효과가 전혀 없다고 한다. 그 이유를 말 하면서 출산 택일 했더니 사산되더라고 했다. 참으로 어이없는 이유다. 출산택일 했는데 하필이면 사산이 되었다고 그 것이 출산택일이 효과 없다고 말하기에는 근거가 너무나 부실하다. 그럼 여태 수 없이 많은 출산택일로 태어난 아이들은 무었이며, 그 들 대부분이 건강하게 잘 자라며 공부도 잘 하고 있는 많은 경우들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나는 나의 스승님께서 출산택일로 태어난 아이들의 성장 과정을 많이 들어왔고, 스승님외에 많은 역학자 분들이 출산택일을 하고 해 오는 것을 보아왔다. 출산 택일 한다고 무조건 좋은 날만 있는 것은 아니다. 산 달 안에서 택일을 해야 하는..
사주명리 작업. 궁통보감 한 권 다 넣었습니다. 추가 작업 해야 하는데 약속시간이 다가와서 오늘은 여기까지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궁통보감은 맨 처음에는 왼쪽의 사주와 같은 월건에 일진이 나오고 그 후 오른쪽에서 보고싶은 월과 일간을 선택해서 확인하면 왼쪽은 첫 화면 그대로 변동없고, 오른쪽 궁통보감 내용만 바뀌게 됩니다. 궁통보감의 내용을 사용자가 내용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만들 예정입니다. 프로그램 등록 중.
궁통보감 한 권 다 넣었습니다. 기문둔갑프로그램에 사주명리, 육임, 자미두수, 성명학, 구성학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 중에 사주명리는 궁통보감 책의 내용을 다 집어넣었습니다. 추가로 시간대별로 간략하게 설명까지 추가 하였습니다. 해당 사주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나오고, 별도로 궁통보감을 공부하려면 월과 일간을 선택하면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맨 오른쪽에는 해당월, 해당일간이 시간대별로 자시에서 해시까지의 내용을 추가 하였습니다. 피드백을 받아서 추가적으로 개선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사주명리 프로그램 글자체 수정 기문둔갑만 있는 프로그램에 자미두수와 성명학과 명리를 추가 해달라는 요청에 따라 급히 여러 프로그램들을 추가하다보니 글자체가 영 희미하고 이상하게 보였습니다. 우선 긴급하게 어플용 이미지를 가져오다 보니 피씨용과는 크기가 안 맞아서 이미지가 깨지고 흐려보이는 현상이 좀 있었습니다. 그리하여 시간이 나는데로 새로 만들었고 기존에 사용중인 분들께는 업데이트 된 프로그램을 보내드리겠습니다. 배경색은 약간 더 연하게 처리하였고 글자는 가급적이면 정자체에 가깝게 하였습니다만 사용자의 피드백을 받아서 추가적으로 수정할 내용이 있으면 최대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궁통보감 # 1-8 삼동을목(축월) 축월의 을목은 몹시 추운 한겨울이라 병화를 사용한다. 병화가 있으면 축월의 동토에 봄이 찾아온 형상이다. 병화가 투출하고 계수가 나타나도 격을 해치지 않으면 벼슬을 한다. 병화가 지장간에만 있으면 먹고 살만은 하고 병화가 없으면 배고픈 선비이다. 축월 을목에 기토가 많고 비겁이 없으면 종재격으로 그 부가 왕후와 비슷하다. 그러나 비겁이 있으면 재다신약으로 바늘하나 꽃을 땅도 없을정도로 가난하다. 축월 을목에 한 무리의 무기토가 있고 겁재인 갑목이 있으면 재다용겁으로 의식과 봉록이 있지만 병화가 있어야 팔자가 좋아진다. 그러니까 축월을목에 한무리의 무토, 기토가 있고 갑목이 있으면 먹고 살만하지만 병화가 있는 것만 못 하다는 의미이다. 시지 사 중에 지장간 병화 무토가 제자리를 얻어서 과거에 올라 관직이 ..
궁통보감 # 1-8 삼동을목(자월) 자월 을목은 꽃나무가 추운날씨에 얼었으나 일양(一陽)의 기운이 돌아오는 시기다. 언 나무에 계수를 사용하면 얼어붙게 하므로 따뜻한 태양인 병화만 사용한다. 주용신은 병화, 보조용신은 무토, 기토이다. 일양이 시생하는 동지... 또는 삼양삼음의 입춘 등을 뜻도 모르고 사용하는 분을 봤습니다. 이 부분은 양둔,음둔 부분에 일양(지뢰복괘) 삼양삼음(지천태괘)등 자~해까지 괘로 정리 해 놓았습니다. 한 두개의 병화가 천간에 투출하고 계수가 없으면 과거에 급제한다. 병화가 지장간에 있어도 관리로 선발되어 임금으로 부터 봉직을 받는다 한다. 이러함에도 귀하지 못 하다면 필시 풍수의 도움이 없어서라고 한다. 혹은 계수가 출간하였는데도 무토의 극제함이 있다면 능력있는 사람이다. 만약 임수가 투출하고 무토가 없다면 가난..
궁통보감 # 1-8 삼동을목(해월) 해월 을목은 임수가 사령하여 춥다. 우선 병화 상관을 써서 양기로 향하는 것이 좋고 무토 정재로 을목이 물에 뜨는 것을 막는다. 병화와 무토가 나란히 투출하면 과거에 급제함이 당연하고 병화는 있고 무토가 없으면 급제는 못 해도 유림에는 들어간다. 지지에 병화가 많고 운이 화로 향하면 역시 출세한다. 혹, 수가 많고 무토가 없으면 부목이 되어 이곳저곳 떠다니게 되니 쓸데없는 무리이다. 만약 병화기토를 보지 못하면 처자식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어렵다. 혹 일점의 임수가 있더라도 많은 무토를 보는것도 좋은것이 아니다. 갑목을 얻어 무토를 극제하면 등라계갑으로 능력있는 인물이나 단지 사람됨돔이 허물이 많고 혼란스럽고 송사를 꾸며 시비를 거는 것이 남녀 동일하다. 을목이 지지 목 비겁국이고 해월을 만나면 봄나무가 ..
궁통보감 # 1-7 삼추을목(술월) 술월(9월) 을목은 뿌리가 메마르고 잎은 떨어졌다. 계수가 필수적이다 그리하여 주용신은 계수가 되고 보조용신은 신금이다. 만약 갑신시 사주라면 이름하여 담쟁이 넝쿨이 큰 나무를 칭칭 감아서 끝없이 자라는 것이니 가을도 좋고 겨울도 좋다. 만약 계수를 보고 또한 물이 나오는 군원인 신금을 만난다면 반드시 급제한다. 혹은 계수는 있고 신금이 없으면 평범한 사람이다. 신금은 있고 계수가 없어도 가난하다. 임수가 많아도 을목을 생하기는 어려우니 역시 보통의 무리이다. 혹, 지지에서 무토가 많고 다시 천간으로 투출하면 종재격으로 본다. 종격은 비겁이 없어야 하고 비겁이 하나라도 있으면 재다신약으로 부옥빈인이다. (부옥빈인 - 부잣집에 사는 가난한 머슴) 계수를 사용하면 금이 처이고 수가 자식이나 단지 자녀를 기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