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과 지지는 나무에 비유하면 줄기와 가지로 볼 수 있으며, 천간은 무형의 기(氣)이며, 지지는 형(形)이며 질(質)이라 할 수 있습니다.
10 천간의 성격에 대한 설명이기는 하나, 일주론과 마찬가지로 사주의 일간에 10천간을 대입해서 이해해도 된다고 봅니다.
자세한 내용은 뒤에 다시 다루기로 하고 간략하게 서술하고자 합니다.
<갑목론>
양목으로 크고 단단한 나무를 상징하며, 육십갑자의 우두머리로써 보스기질이 있습니다.
큰나무의 본 줄기를 말하며, 큰 나무의 가지는 을목으로 큰 나무 전체를 갑목으로 보지 않아야 합니다.
갑은 무엇이든 최고가 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논리적이고 예의바르고 신사적이며, 인자하면서도 이기적이고 독선적인 면이 있으며, 편협하고 비타협적인 성질을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
갑목은 또, 땅에서는 큰 나무가 되고 하늘에서는 우레가 되는데 대게 신월(申月)에는 우레가 멈추는데 갑목의 절지가 되어 그렇습니다.(12운성 참조)
갑목은 12운성상 亥에서 장생지가 되고 子에서 敗地가 되는데 사목(死木)은 亥水는 壬水(바닷물)이라 썩지 않고
子水는 癸水(빗물)이라 썩게 만들므로 패지가 됩니다.
갑목은 사오미월에 태어나고 물이 부족하면 질병과 액운이 많을 수 있습니다.
갑신일 사주에 금이 많은 경우 운에서 다시 금운을 만나면 흉운이 됩니다.
갑목은 편관 경금을 더 좋아하고 신금 정관을 싫어합니다.
<을목론>
음목은 화초와 넝쿨식물이며, 하늘에서는 바람이 됩니다.
잡초처럼 생명력이 있고 큰 나무보다 약하지만 절대로 부러지지않고 바람이 불면 누웠다가 바람이 지나가면 일어서는 풀과 같은 모습이며, 다란 사람을 이용하거나 은근히 의지하려는 경향이 있어서 타인에게 환영받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현실적 안목이 탁월하고 미래지향적이며, 실속을 우선으로 생각합니다.
주변과 잘 융화하고 부드럽고 섬세한 면이 있고 겸손하고 예의가 바르며 환경적응이 빠르지만 신경이 예민하고 민감하며 참을성이 부족하고 즉흥적이며, 허풍이 심해서 속을 알기 어렵습니다.
을목은 갑목과 계수를 좋아합니다. 그러나 갑목은 을목을 싫어합니다. (자기몸에 칭칭 감고 올라오는 덩쿨이니 싫어함. )
을목일주 남자가 갑목일주 여자를 보면 결혼에 성공한다. 갑일주 남자가 을목여자를 보아도 마찬가지인데 을목인 덩쿨이 갑목인 나무를 칭칭 감고올라가 놓아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병화론>
병화는 하늘에 태양이며, 강렬한 불이다. 만물을 기르고 생장하게 하는데 필수 요소 입니다.
태양처럼 환하여, 병화 일주의 사람은 성격이 솔직하고 감추는 것이 없습니다.
독선적이고 고집이 강하며 정열적이지만 성격이 급해서 주변을 곤란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외적인 용모에 관심이 많고 화술이 좋으며 두루두루 친하게 지내게 됩니다.
예의가 바르고 친화력이 있으며, 화려한 것을 좋아하며, 조급하고 흥분을 잘하고 주위를 의식하지 않고 자기방식을 고집하며, 사치스럽고 소유욕과 집착이 강한 면이 있습니다.
하늘에서는 태양이고 땅에서는 용광로 인데 뿌리인 午火가 없으면 용광로 역할을 할 수 없습니다.
즉, 뿌리가 있으면 쇠를 녹일 수 있으나 뿌리가 없으면 쇠를 녹이지는 못합니다.
병화는 편관인 임수를 좋아하고 계수인 정관을 싫어합니다.
태양의 빛이 임수인 바다 또는 큰 호수에 빛이 반사되어 그 빛이 찬란하므로 좋아하는 것이고 계수는 정관이지만 빗물로서 비가와서 태양을 가리게 되므로 싫어하는 것으로
사주에서 병화가 임수를 만나면 고관(高官)이 될 수 있고, 병화가 계수를 만나면 빛을 가리게 되어 말직(末職)에 머물게 됩니다.
또한, 병화(丙火)는 무토(戊土)인 안개와 기토(己土)인 구름 역시 햇빛인 丙火를 가리니 싫어 합니다.
<정화론>
丁火는 음화(陰火)로서 땅속의 지열이 만물을 지켜주는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화일주의 사람은 잔정이 많고 차분한 성격으로 겉보기에는 조용하고 약하게 보이지만 내면적으로는 자존심과 집념이 강하고 정신력이 뛰어납니다.
남에게 봉사하고 배려하고 희생하며, 합리적이고 주변환경과 조화를 잘 이루지만 주관이 약해서 남의 말에 잘 흔들리며, 서운한 일이 생기면 좀처럼 잊지 못하는 조용히 지켜보다가 갑자기 폭발하는 면이 있습니다.
하늘에서는 별이고 땅에서는 쇠를 녹이는 산소용접불, 촛불이며, 갑목과 경금을 좋아하고 기토(己土)는 구름이니 별 빛을 가리므로 싫어 합니다.
정화는 연료인 갑목이 있으면 추동절에 태어나도 염려가 없으며, 갑목과 갑목을 쪼개는 경금(도끼)이 있으면 귀한 사주가 됩니다. 벽갑인정
갑목에 비해 경금이 너무 많으면 정화가 쇠를 녹이지 못하여 가난하게 되거나 단명하게 됩니다.
<무토론>
무토(戊土)는 양토(陽土)로 큰 산도 되고 넓은 들판도 되는데 己土와 달리 火氣가 섞여 있어서 나무가 자랄 수 없으며, 단지 바람을 막고 물길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무토일간의 사람은 큰 산위에서 아래를 내려보듯이 사물을 관찰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신용과 믿음을 중시하며, 인품이 중후하고 포용력이 있으며 목표로 정한것을 꾸준히 실천 합니다.
재물과 이성에 대한 집착이 강하며, 자만심과 고정관념이 강하여 융통성이 부족하고 고집불통인 경우가 많고 외로움을 잘 타며, 타인과 거리감을 두는 성격입니다.
천상에서는 안개와 노을이며, 땅에서는 고산, 제방, 사막, 황야를 의미하는데 중후하고 신용이 있으나 물이 있고 나무가 있어야 명산이 됩니다.
무토에 갑목이 없으면 아름답지 못하고 물이 없으면 황산으로 팔자가 사납게 됩니다.
무토일간이 사오미월(여름)에 태어나면 물이 필요한데 물이 없으면 사는것이 힘들고 旺한 戊土에 금이 없거나 목이 없으면 머리가 좋지않은, 우둔통입니다. 旺한 土의 기운을 금이 설기(빼내어 줌)해야 좋습니다.
무일간이 경금과 갑목이 있으면 고산에 달(庚)이 떠있는 형상으로 인물이 빼어나지만 밤에 태어난 경우에 그렇고 낮에는 태양이 달빛을 가리므로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닙니다.
<기토론>
己土는 음토로 습기를 머금고 있어서 식물을 기를 수 있는 논이나 밭, 정원, 화원, 옥토, 평야 등 잘 가꾸어진 땅을 말 합니다.
기토일간의 사람은 부드럽고 조용하면서 자기 주장을 내세우지 않고 자애로움과 포용력이 있습니다.
외유내강형으로 동질감, 유대감이 뛰어나지만 우유부단한 면이 있으며, 타인의 충고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고 이기적이며 욕심이 많고 신경계통과 소화기계통의 질병에 주의해야 합니다.
하늘에서는 구름이고 땅에서는 옥토,전답이며 우레인 갑목과 합하여 비를 만들어 땅을 더 기름지게(갑기합토) 만듭니다.
을목은 바람으로 구름을 흩어지게 만들어 갑기합을 방해하므로 을목을 싫어 합니다.
기토는 아무리 많아도 큰 물(壬水)을 막지 못하고 무토(戊土)라야 막을 수 있습니다.
기토 일주가 계수운이 오면 재물 때문에 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증기가 하늘로 올라가야 하는데 비가와서 하늘로 올라가지 못 하기 때문입니다.
<경금론>
경금(庚金)은 가을에 맺은 열매를 뜻하기도 하며, 가공되지 않은 원석, 무쇠를 상징하며, 정화(丁火)로 가공하여야 쓸모 있게 됩니다. 정화 없는 경금은 날이 무딘 도끼에 비유되며, 또 그 모습을 바꾼다는 의미로 고칠갱(更)의 의미도 담고있습니다.
특히 기문둔갑에서는 庚을 更의 의미로 사용하여, 처를 바꾸는 재혼, 직장을 바꾸는 이직등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경금일주의 사람은 한 번 결정한 일은 추진력이 있고 맺고 끊음이 확실하며 정의감이 있고 머리가 좋습니다.
그러나 남의 말을 잘 안 듣고 현실과 타협하는 지혜가 부족하며, 의리를 앞세워 혼자 손해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허세와 잘난척을 많이 하기도 합니다.
하늘에서는 달이고 땅에서는 강철이며, 강금인데 정화로 녹여야 쓸 수 있으며, 병화로는 경금을 녹일 수 는 없습니다.
또, 하늘에서는 달이므로 기토(己土)는 구름이 달빛을 가리니 기토를 싫어 합니다.
이때 바람인 을목(乙木)이 구름을 날려버리니 을목을 좋아합니다. 이것이 을경합이니 청풍명월(淸風明月)입니다.
경금일간에 을목이 있으면 인물이 좋습니다.
*** 기문둔갑에서는 갑목의 여동생인 을목이 호시탐탐 갑목을 노리는 경금과 합을 이루어 처남이 되어 갑목을 지켜내게 되므로 을을 삼기(을,병,정)에 포함시킵니다.
병화는 갑의 아들로써 화극금하여 경금을 견제하여 갑목을 지키므로 二奇가 되고, 정화는 갑목의 딸로서 화극금하여 경금을 견제하니 三奇가 되며, 무,기,경,신,임,계를 육의(六儀)라고 합니다.
여명(女命)의 경금일주가 십오일밤에 태어나면 미색은 뛰어나지만 운명은 좋지 않습니다.
<신금론>
辛金은 가을에 열매를 맺고 씨앗이 트는 형국으로 보석, 장식품, 반도체, 침, 낙옆, 서리 등을 상징 합니다.
보석이므로 火를 만나면 못쓰게 되고 물로 깨끗이 씻어야 빛이 나므로 물을 좋아 합니다.
신금일주인 사람은 자존심이 너무 강하여, 욕심이 많고 자신이 최고라는 자아도취에 빠지기 쉽습니다.
또 너무 청백하여 냉정하고 까다로우며, 비위를 맞추기 힘든 사람이 되기도 합니다.
외모에 관심이 많고 총명하며, 집요하게 파고드는 성격으로 자신의 관심분야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합니다.
성격이 너무 까다롭고 자존심이 강하여 친구가 별로 없는 경우가 많으며, 스스로 잘난체하고 이기적이고 자만심이 아주 강합니다.
하늘에서는 서리요, 땅에서는 보석이니 戊,己土를 만나면 더러워지므로 싫어하고 壬癸水로 씻어야 빛이 나므로 좋아합니다.
곤명(坤命), 즉 여성이 신유(辛酉)일에 태어나서 신왕하면(일주 외에 금 기운이 많이 있으면) 내정백호(內庭白虎)라 하여 일찌기 극부(剋夫)하므로 혼자 사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묘(辛卯)일주는 현침살로 사주구성이 좋으면 약사,의사,침구사가 되고 사주구성이 나쁘면 깡패나 도살자가 될 수 있습니다.
<임수론>
壬水는 임신한 여자의 형상으로 보기도 하며, 지혜, 바다, 큰 호수, 강, 댐 등을 상징합니다.
임수일간으로 태어난 사람은 물처럼 흘러다니는 역마성이 있어 여러곳을 돌아다니기를 좋아하며, 물속을 알 수 없듯이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습니다.
지혜롭고 총명하며, 부지런하고 사교적이며, 포용력이 있으나 속으로는 감정의 기복이 심하고 한 번 틀어지면 차갑고 냉정하고 뒤를 돌아 보지 않습니다.
참을성이 약해서 변덕이 심하고 속 마음을 잘 드러내지 않습니다.
하늘에서는 찬이슬, 눈, 우박이며, 땅에서는 대해, 강, 호수이며 임수가 旺하면 무토(戊土)로 막아야 됩니다.
임인생(임인년에 태어난)이 사주에 水가 많고 병화가 뿌리가 없고 약하면, 본인이나 부친이 장님인 경우가 많습니다.
壬水가 많은 사주에 戊土가 없으면 일생이 곤고하며 몸이 아픈경우가 많습니다.
<계수론>
癸水는 지혜(智慧), 비, 원천,옹달샘, 얼음, 차가움등을 상징하며 陰水로, 계수일간인 경우 지모가 뛰어나고 준법정신이 투철하며, 임기응변에 능하고 자기꾀에 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성격이 섬세하고 치밀하며, 다정다감하고 변화에 대한 적응이 뛰어 납니다.
신경이 예민하고 감정의 기복이 크고 질투심이 강하며, 인정이 많아 배신을 잘 당하고 허망한 꿈을 많이 꾸기도 합니다.
임수와 달리 계수는 무지개를 이룰 수 있으므로 무지개를 쫓는 허망한 꿈을 꾸는 것입니다.
계수일간이 火가 旺하면 약한 물이 마르게 되므로 눈에 안질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계해(癸亥)일생 여성이 수왕절에(子월) 태어나면 성욕불만으로 일부종사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계축(癸丑)일주, 또는 임술(壬戌)일주 여성은 관백호(官白虎)라 하여 그 부(夫)가 횡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계수는 지하수이지만 亥子水를 만나면 대해수(大亥水)를 이루게 됩니다.
간략하나마 천간론을 마무리 합니다.
'사주명리 > 사주명리기초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격을 정하는 법 (4) | 2019.12.21 |
---|---|
11. 지지오행론 (0) | 2019.12.11 |
9. 지지(地支)의 합(合)과 충(沖) (0) | 2017.11.19 |
8. 천간의 합과 충 (2) | 2017.11.14 |
7. 지장간 (0) | 2017.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