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월(3월)의 을목은 양기가 매우 왕성하므로 먼저 계수를 쓰고 후에 병화를 사용한다.
상관패인으로 계수 편인과 병화상관이 투출하고 재관인 기토와 경금이 없으면 귀하지만
기토와 경금(己,庚)을 보면 보통사람이다.
乙庚이 있고 기토가 없는 경우 약간의 부귀는 얻을 수 있으나 큰 발전은 없다.
만약 수가 많고 기토도 있으면 재능은 있으나 과거 급제를 못 할 수 있다.
무토가 있으면 다른방법으로 벼슬을 한다.
경금과 기토가 혼잡된 경우에는 계수와 병화가 온전해도 하격이다.
진월 을목이 한 무리의 계수를 보고 신금이 또 있으면 이는 신왕한 것이고
하나의 무토나 기토가 있어 계수를 극제하면 작은 부귀가 있다.
한 무리의 임계가 있으면 빈천하기만 한 것이 아니라 요절하기도 한다.
하나의 무토나 기토가 있으면 요절은 면하겠지만 기술자에 불과하다.
또 진월을목이 경진월에 경진시라면 두 개의 경금이 합을 다투는 것이므로 이는 빈천의 무리라 한다.
년에 정화를 보고 경금을 파하면 종화(從化)하는것이 옳다 하겠으며 역시 무관으로서의 권력은 잃지않는다.
계수를 사용하면 금이 처이고 수가 자식이다.
계수가 많아 병화를 사용하면 목이 처이고 화가 자식이다.
이는 을경 종화격이나 다만 때를 만나지 못하여 한 마을의 부자일 뿐이다.
병을무갑
자해진인
육을서귀격으로 병화가 높이 투출하고 무토가 수를 극제하니 관직이 안찰사에 이르렀다.
* 육을서귀격 : 을축, 을해, 을유, 을미, 을사,을묘 의 여섯을간에 자시에 출생하면 귀하게 된다는 격으로
나중에 뒤에서 다시 다룰예정.
갑을갑정
신사진유
하급관리에 뽑혔으나 다만 처자와 헤이지고 형제들이 없는것은 지지에서 무토가 많아서 이다.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통보감 # 1-6 삼하을목(오월) (0) | 2022.05.23 |
---|---|
궁통보감 # 1-6 삼하을목(사월) (0) | 2022.05.16 |
궁통보감 # 1-5 삼춘을목(묘월) (0) | 2022.03.21 |
궁통보감 # 1-5 삼춘을목(인월) (0) | 2022.03.11 |
궁통보감 # 1-4 삼동갑목(축월) (0) | 2022.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