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고객데이타에서 이름으로 검색하거나 아니면 메모의 내용으로 검색하는 기능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세부 검색기능이 필요할 것입니다.
특히나 데이타가 많아지면 데이타마이닝 기법으로 여태 몰랐던 새로운 현상을 밝혀낼 수 도 있기 때문이며,
사주가 이러이러 한 경우에 이러이러한 일이 발생하더라는 기존 임상이나 이론상으로 학습했던 사실에 대해
보다 더 확신을 심어줄 수 도 있을 것입니다.
데이타 마이닝에 대해서는 여러번 글을 적었습니다만,
예를들어, 수백만건의 기상데이타가 쌓여 있다고 한다면 비가 오기전에 날씨들을 검색해서 확인 해 봄으로
비가 오기전에는 항상 이러이러한 징조가 있더라 하는것을 밝혀낼 수 있습니다.
데이타 마이닝에 대한 하나의 예를 든 것이며 실제로 기상데이타로는 데이타마이닝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양이 충분하지 않습니다.
만약 1,000년 동안 날씨를 기록한 데이타가 있다해도 약 365,000건 밖에 되지 않으므로 이것은 빅데이타로
부르지 않지요.
아무튼 사주 데이타도 수백만건이 쌓이면 데이타마이닝 기법으로 여태 몰랐던 현상을 알 수 도 있습니다.
그래서 고객관리에 대한 조회기능을 추가했습니다.
기본적으로 이름으로 검색하거나 메모내용으로 검색하는 기능은 원래 있었습니다.
년주,월주,일주,시주로 조회하는 기능을 추가 했습니다.
단순히, 년주로 조회하거나 월주로 조회하거나 일주나 시주로 조회하는 기능뿐 아니라
모든 조합이 필요 할 겁니다.
즉, 년주와 일주로 조회한다거나 년주,시주로 조회 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고
년월일시 모두 입력해서 조회할 경우도 드물게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모든 경우의 수는
24−1=16−1=15 열 다섯 가지 입니다.
1개: 년, 월, 일, 시
2개: 년월, 년일, 년시, 월일, 월시, 일시
3개: 년월일, 년월시, 년일시, 월일시
4개: 년월일시

이렇게 조회가 되어야 되겠지요.
그리고 간지를 셀렉트 하는 경우, 양간을 셀렉트 했으면 지지는 양의 지지만 보여주면 되는것이고
음간을 선택했으면 음간만 뿌려줘야 사용자 입장에서 편리 할 것입니다.
위의 이미지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또 마찬가지로, 음양 구분에 따라 년,월,일,시로 조회하되,
년,월,일은 숫자로 입력받아서 조회하고 시간은 '자~해'시 까지 셀렉트 해서 조회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또, 사용자 입장에서 주의할 것이 있는데
바로 야자시와 조자시 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야자시,조자시 구분하지 않는것이 맞다고 봅니다만 사용자 편의를 위해서 옵션을 넣어야 겠지요.
그 경우, 만약 옵션을 변경했다면 저장된 사주도 그에 맞게 수정하는 기능이 있어야 합니다.
특정 버튼을 클릭하면 입력된 전체 고객의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불러와서 한 명씩 새로 저장하는 기능을
추가해야 합니다.
이 부분도 완료되어 있는데 이것은 환경설정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우측 상단에 보듯이 고객데이타를 엑셀로 변환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데이타마이그레이션 (Database Migration) 이 용이 해지며, 백업이 쉬워집니다.
또한, 백업받은 엑셀데이타를 일괄등록 해주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백업과 리스토어 또는 대량등록이 쉬워집니다.
만들고 보니 화면이 좀 복잡해 보이는 면은 있네요.
필요시에 나타나게 하고 평소에는 감추는 기능도 생각해 보았는데
사용자 편의를 생각한다면 한 번이라도 클릭횟수를 줄이는 것이 나을것 같네요.
아무튼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할 예정입니다.
'신변잡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세력 작업. (4) | 2025.09.07 |
---|---|
새 프로그램에 지도 추가 (0) | 2025.09.05 |
巳,午,子,亥의 음양 (8) | 2025.08.03 |
종합역학 기을임 (13) | 2025.07.31 |
PC용 프로그램 포트폴리오. (2) | 2025.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