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용신 : 병화, 보조용신 : 갑목,정화,무토
흙이 축축하고 얼어 있는 상태다.
병화 정인으로 따뜻하게 만들어서 생산하게 하며 갑목 정인으로 병화를 돕고
강한 흙을 막으며, 정화 편인과 무토 겁재로 보조한다.
겨울 기토는 흙이 축축하고 얼어 있다.
병화 정인으로 따뜻하게 하지 않으면 생산을 못 하므로 어떤 경우에도 중히 쓰며
土비겁이 많을 경우에는 갑목 정관을 참고하여 쓴다.
무토 겁재와 계수 편재는 사용하지 않는데
단 초겨울인 亥월에는 사령하는 임수 정재가 왕성하므로 이를 막기 위해 무토를 취하여 쓴다.
나머지 경우는 丙丁인수를 사용한다.
단, 정화는 찬 기운을 녹이기에는 역량이 부족한 등불이므로
木의 도움이 없으면 중요하게 쓸 수 없다.
천간에 병화 정인이 1개 투출하고 지장간에 병화가 감춰져 있으며
갑목 정관이 투출하면 겨울에 무력해지기 쉬운 병화가 역량을 갖추어 과거 급제한다.
또한, 장간에 감춰진 병화가 제극이 되지 않으면 학생 신분은 된다.
겨울 기토에 임수 정재가 많으면 무토 겁재가 투출하여 임수를 제극하여야 한다.
그래야 편안하고 재물이 있으며 귀하다.
만약 임수를 제극하는 무토가 없으면 재다신약(財多身弱)으로
겉은 부자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가난하다.
이를 부옥빈인(富屋貧人)이라 한다.
겨울 기토가 천간에 임수 정재가 투출하면 물이 호수 옆에 있는 밭을 잠기게 하는 것과 같아
외롭고 고통스러운 명이다.
그러나 火인수를 보면 겨울 흙이 생기가 있고 외롭지 않으며
土비겁을 보면 재성을 장악할 수 있는 역량이 생겨 가난하지 않다.
해자축월의 기토가 한 무리의 계수 편재를 보고 물기운을 막는 土비겁이 없으면
水에 종(從)하는 종재격(從財格)이 되어 오히려 부귀하며
과거 급제는 못 해도 발전은 있다.
그러나 土비겁이 있으면 종재격(從財格)과 유사하지만 비견이 재성을 놓고
다툼을 벌이는 형세가 된다.
즉 水는 강하고 土일간이 약하면 재다신약(財多身弱)이 된다.
이 경우 평범한 사람이며 처자(妻子)가 주장을 한다.
종재격인 경우 金이 妻이고 水가 자식이 된다.
해자축월의 기토가 한 무리의 무기토 비겁을 만나면 갑목 관살로 제극하여야 한다.
따라서 갑목이 투출하면 부귀하다.
해자축월의 기토에 경신금 식상이 있는 경우 반드시 병화 정인을 쓰고 정화가 도와야 한다.
그러면 상관패인(傷官佩印)의 팔자가 되어 부귀(富貴)하다.
병화가 투출하지 않고 장간에 있으면 운세의 변화에 따라 부귀(富貴)가 달라진다.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통보감 # 3-8 삼동기토(축월) (3) | 2024.07.24 |
---|---|
궁통보감 # 3-8 삼동기토(자월) (0) | 2024.07.11 |
궁통보감 # 3-7 삼추기토(술월) (2) | 2024.06.17 |
격을 정하는 법#2 (0) | 2024.06.01 |
궁통보감 # 3-7 삼추기토(유월) (2) | 2024.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