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통보감의 원저는 난강망(欄江網)으로 중국 명(明)나라 때 쓰여진 것으로
원작자는 미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후에 청(淸)말 여춘대(余春台)가 난강망을 궁통보감(窮通寶鑑)이라는 이름으로 출간하였고
근대에 들어 서락오(徐樂吾)가 1937년에 재 해석하여 출간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난강망과 궁통보감은 결국 같은 책 입니다.
명리학의 3대 서적으로는 자평진전, 난강망(궁통보감), 적천수 입니다.
저도 세 권을 모두 읽기는 했어도 깊이있게 공부하지는 못했고 제 스승님께서 말씀하시길
"내가 그 책들 다 공부하고 너희들에게 가르키는 것이니 쓸데없이 시간낭비 하지말고
내가 가르치는데로만 열심히 따라오라" 고 하셨습니다.
여기서는 궁통보감을 먼저 정리하고자 하는데 제가 읽은 책에 있는 내용과 제 스승님께 배운내용들을
적절하게 섞어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양이 방대하므로 생략하는 부분도 있을 수 있습니다.
들어가기전에 잡설을 하나 소개 하자면,
제가 만든 랜서사주라는 어플에 난강망의 내용에 있는 주용신과 보조용신이 나오도록 만들어
드렸는데 오히려 사용자로 부터 항의가 있었습니다.
예를들면 이렇습니다.
인월에 갑목(일간이)이면 용신은 병화이고 보조용신은 계수다.
이렇게 주용신과 보조용신이 나오도록 했더니
"용신이 틀리잖아요.. 적중률이 30%도 안되요~ 이러면 어떻게 이 어플을 믿고 쓰나요!!!" 합니다.
당연하지요..
궁통보감의 내용은 사주에서 제일 중요한 월지와 일간만 가지고
인월에 갑목으로 태어나면 인월은 아직은 추운날씨라서 태양(병화)이 필요하다.
이런식으로 정리 해 놓은것 뿐인데 년주,월주,일주,시주에 다 병화가 있는 경우는 용신이 너무 많아도 오히려 병이 되므로 용신이 달라져야 합니다.
전체 사주를 보지않고 참고용으로 적어놓은 용신을 보고 그 사주의 용신이 무었이니 그 용신이 운에서 오면 좋은 시기이고 기신이면 흉하다는 식으로 사주를 보려고 하니까 안맞는 것입니다.
본인은 공부하지 않고 컴퓨터가 자동으로 용신을 다 잡아주기를 바라고 있고
또, 그렇게 간단하고 쉽게 답이 나오는것 같으면 사주공부할 필요 없지요.
아무튼 시간나는데로 공부삼아 정리해 나가고자 합니다.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통보감 # 1-1 삼춘갑목(인월) (0) | 2022.01.31 |
---|---|
궁통보감 #1 論木 (0) | 2022.01.30 |
궁합보기 (0) | 2018.02.20 |
간략 사주풀이 #2 (0) | 2018.02.19 |
숨은 처 찾아내기 (0) | 2018.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