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즈음에 기문둔갑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했는데 그때도 PC용으로 개발해달라는 요구가 많이 있었지만
사정상 차일피일 미루어 왔다.
처음 스마트폰용 어플을 개발하면서 너무 잘 만들려고 새로나온 화려한 기능을 많이 추가하다보니 구 버전인
킷켓버전에서는 작동하지 않는 오류가 있어서 어쩔 수 없이 킷켓버전용으로 만든것이 "기문둔갑 K" 이다.
안드로이드 버전은 알파벳 순으로 C부터 시작하는데
C 버전이 컵케이크 (안드로이드 1.5)
D 도넛
E 이클레어
F 프로요
G 진저브레드
H 허니콤
I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J 젤리빈
K 킷캣 -Android 4.4
L 롤리팝 - Android 5.0~5.1
M 마시멜로
N 누가
O 오레오
P 파이 - Android 9.0
안드로이드 Q - Android 10.0
위와 같은 순으로 현재는 안드로이드Q 버전까지 출시된 상태이다.
아마도 롤리팝버전으로 여러 기능을 만들었는데 일부 이용자들이 킷캣버전을 사용하고 있어서 일부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오류가 있다고 해서 새로 만든것이 킷캣버전인데
그 후에 기문둔갑, 자미두수, 명리, 육효, 육임, 풍수나경등을 하나의 어플에 담은 "역박사" 어플을 출시하면서 기존의
"기문둔갑" 사용자와 "기문둔갑K" 버전도 동시에 기능업데이트를 하면서 세 가지가 동일한 기능을 가지도록 만들었다.
그리하다보니 무료 버전인 "기문둔갑 F "는 더 이상 업그레이드 하지 않아도 부담이 없지만
유료버전인 그 세 가지는 필요에 따라 거의 주기적으로 세 가지를 다 업데이트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 가지만 만들었으면 좀 편할텐데 하는 후회가 있다. 그러나 이미 세 가지 버전 모두 사용자를 확보한 상태라서 한 가지라도 방치할 수 는 없지않은가. 고객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그러하다.
아무튼 현재는 결과적으로 역박사, 기문둔갑, 기문둔갑K 가 모두 기능면에서 동일하다.
그러던 차에 더 이상 PC용 기문둔갑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미룰 수 가 없어서 개발하게 되었다.
역학 프로그램에서 제일 중요한 부분중의 하나가 바로 절기의 절입부분이다.
절입 전후로 인하여 사주팔자가 완전히 달라지므로 오류가 없는 완성도 높은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절기의 절입 시각이 아주 중요하다.
.
갑자기 사주가 달라지면 사용자가 혹시 무슨 오류가 있는게 아닌가 의심할 수 있으므로
위의 이미지 처럼 절기의 절입일에는 메세지를 보여주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그럼 사용자가 "아하~ 그럼 6시 전후로 사주가 달라지겠구나 " 하고 미리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위의 이미지에서 보듯이 2020년 2월4일은 입춘 절입일로서 진짜 경자년이 시작되는 시간이다.
그러나 오후 6시 2분 전까지는 위의 그림과 같이 기해년 정축월이 되어야 한다.
절입시각 이후부터는 경자년이 되는것이다.
이렇게 같은 날 태어나도 몇 시간 차이로 사주글자가 달라진다. 18시 02분 이후에 비로소 경자년 무인월이 시작된다.
그러나 제사 축문에는 음력 1월1일 부터 태세와 월건은 경자년 무인월로 적어야된다.
자미두수에서는 마찬가지로 음력을 기준으로 태세,월건이 정해진다. 일진은 어떠한 경우라도 바뀌지 않는다.
동지세수니 입춘세수니 해도 월건,일진은 바뀌는게 아니고 한 해의 기준이 바뀌는 것이므로 태세만 바뀌는 것이다.
자미두수에서는 윤달을 15일 까지는 전월로, 15일 이후는 다음달로 보기때문에 제사축문과 또 달라지게 된다.
명리와 달리 기문둔갑에서도 초신접기를 사용하므로 태세와 월건이 명리와 달라지는 경우도 있다.
그러니까 같은 날이라고 무조건 태세,월건,일진이 같은것은 아니다.
흔히, 역학사이트 같은데에 보면 오늘은 경자년,무인월,정축일 입니다. 라고 안내하는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제사축문을 쓰느냐, 자미두수를 보느냐, 기문둔갑을 보느냐 명리로 보느냐에 따라 달라지므로 아무 의미가 없는 것이다.
'신변잡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문둔갑 어플 업그레이드 소개. (0) | 2020.03.17 |
---|---|
기문둔갑 프로그램 (2) | 2020.02.17 |
기문둔갑 홍국수 쉬운 계산법 그리고... (0) | 2020.01.20 |
성명학 앱 개발-한글 오행 자음모음 (3) | 2020.01.20 |
역학은 미신일까? 과학일까? (0) | 2019.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