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변잡기

주역으로 보는 2022(壬寅)년 국운.

728x90
반응형

대산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방법입니다.

태을수, 기문둔갑으로 국운을 볼 수 있지만

주역으로 보는 방법입니다.

 

2022년은 임인년 입니다.

임은 9번째 천간이고 인은 3 번째 지지 입니다.

기문둔갑에서 사용하는 홍기수도 마찬가지 입니다.

외괘는 천간으로 내괘는 지지로 구성하고

변효는 두 수를 합해서 6으로 나눈 나머지 입니다.

 

천간이 9 이므로 9 mod 8 = 1

일건천

지지는 3 이므로 3 mod 8 = 3

삼리화

 

즉, 천화동인 입니다.

천화동인

mod 는 나머지를 구하는 함수 입니다.

엑셀 시트에서 사용하려면 =mod(9,8) 이런식으로 입력하면 됩니다.

 

변효는 9+3 = 12

12를 6으로 나눕니다. 육효니까.

 

12 mod 6 = 0 

나머지가 0이라는 말은 상효(맨 위에 있는 효, 육효라고 하지 않고 상효라고 함.)가 동효가 됩니다.

 

상효 (6효라고 하지 않고 상효라고 함.)

오효

사효

 

삼효

이효

초효(1효라고 하지 않고 초효라고 함.)

 

아무튼 상효가 동효가 되니 상효가 양에서 음으로 바뀝니다. 그러면 변효는 택화혁이 됩니다.

택화혁

즉, 천화동인 괘가 택화혁으로 변한다는 의미 입니다.

육효로 보자면 이러합니다.

  

천화동인으로 인해서 택화혁을 이끌어 낸다. 

혁(革)은 바꾸다, 개혁한다, 뒤집는다는 의미 입니다.

정권교체의 의미도 포함된다고 봅니다.

 

일전에 대산선생님께서 20년 경자년, 21년 신축년국운과 더불어 언급하신 내용이기도 합니다.

 

 

 

 

 

 

728x90
반응형

'신변잡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후보와 홍준표,원희룡,추미애와의 케미.  (0) 2021.11.18
궁합어플 새로 출시  (0) 2021.11.03
택일 어플 출시(무료)  (0) 2021.10.31
태을수 1950년 년계  (0) 2021.10.19
태을수 마무리  (0) 2021.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