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역학 유료버전(쿠팡에 30만원)에서는
산신축문과 묘제축문도 포함됩니다.
물론, 사주와 구성학도 1800년~2130년까지 나옵니다.
하단에 본관 성씨와 이름을 적는 란이 나오는데
산신축문에는 집안의 제사가 아니므로 '효자 OO' 또는 '효손 OO' 대신에
'유학' 이라고 하며 성까지 붙여서 '유학 홍길동'과 같이 씁니다.
또, 오른쪽에서 두 번째 줄에서 보듯이 밀양박공 다음에 망자의 이름을 적습니다.
물론, 지역에 따라 이름은 생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제사 처럼 매년 정기적인 행사가 아니므로 프로그램상에 저장해 놓고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축문 하단에 일회성으로 본관,성씨, 이름을 적는 란이 있는데 만약 세 칸을 다 비워놓으면
OO 으로 표시 됩니다.
위의 예시에는 이름을 '문수'로 적었으므로 한자로 밀양박공 다음에 문수라고 나오지만
이름을 비워놓으면 밀양박공 까지만 나옵니다.
또 여섯째 줄에 '謹以淸酌 脯醯祗薦(혜근이청작 포혜지천)' 이라고 나오는데
포혜지천 대신에 주과지천(酒菓祗薦, 酒果祗薦 )이라고 쓰기도 합니다.
'포혜'는 포와 식혜라는 의미이고 '주과'는 술과 과일이라는 의미이니 너무 글자에 집착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효자 OO' 라는 표현대신에 부모의 기제사를 제외한 우제,담제등에서는 고애자, 고자,애자로 표현하는데
이 표현은 부모에만 해당하므로 증조부,고조부에는 사용하지 않는 표현입니다.
부모가 조부보다 먼저 돌아가신 경우 조부 고애손, 고손,애손의 표현이 있기는 하지만 드문 경우 입니다.
고애자,고자,애자는 부모가 돌아가신지 2년,즉 대상전에만 사용하는 표현이고 그 후로는 효자로 표현합니다.
감사합니다.
'신변잡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뢰복. (0) | 2025.02.07 |
---|---|
생활역학 프로그램 완료. (2) | 2025.01.30 |
지수사 (0) | 2025.01.20 |
4.산수몽, 5.수천수 (0) | 2025.01.17 |
간략 주역풀이-건위천,곤위지,수뢰둔 (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