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통보감 # 4-1 삼춘경금(묘월)
주용신 : 정화 보조용신 : 갑목, 경금, 병화
월의 지장간 을목과 경금이 합하여 강해질 우려가 있다.
먼저 정화 정관을 써서 金을 제련하며 갑목 편재로 정화를 돕고 경금 비견으로 갑목을 쪼갠다.
병화 편관은 정화가 없는 경우에 쓴다.
묘월 경금은 월의 지장간에 을목이 있어 경금과 합하려 하므로
경금일간이 강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화 정관을 먼저 쓰며 다음에 갑목 편재로 정화를 돕고
경금 비견으로 갑목을 쪼갠다.
묘월 경금에 제련하는 정화가 없어서 조후하는 병화를 쓰는 경우
부귀를 누릴 수는 있으나 노력해서 얻는다.
묘월 경금에 정화 정관이 천간에 있고 갑목이 투출하여 정화를 이끌어주며
지지에서 1개의 경금이 갑목을 제극하는 경우에는 팔자의 배합이
중화를 이루어 매우 귀하다.
그러나 경금이 없는 사람은 정화와 갑목이 투출해도 평범한 사람이다.
봄의 정화는 왕성하지도 쇠약하지도 않으므로 갑목으로 도와야 한다.
또한 갑목은 경금으로 쪼개줘야 정화를 이끌어 온다.
그러나 갑목 대신 濕한 을목이 많은 경우에는 오히려 정화가 손상될 수 있어
정화를 이끄는 것으로 삼기 어렵다.
그러므로 정화와 갑목이 있어도 경금이 없으면 평범한 사람이고
정화와 경금은 있으나 갑목이 투출하지 않아도 평범한 사람이다.
또한 정화는 투출하고 경금과 갑목이 없는 경우 재물을 이용해서 벼슬을 할 수 있고
정화 대신 병화가 있는 경우는 과거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공명을 이룬다.
묘월 경금이 甲乙재성이 약한 경우 경금이 천간에서 재성을 파괴하면 흉하다.
그러나 재성이 강하면 종재격으로 부귀한데 이 경우 경금 비견을 1개 보면 종재격의 파격으로
재다신약사주가 되므로 외롭고 가난하다.
종재격인 경우 火가 妻이고 土가 자식이다.
정화를 용신으로 하는 경우에는 희신인 갑목이 妻가 되는데 만약 경금이 제극하면 해로하기 어렵다.
경금은 묘월이 태지(胎地)가 되어 약하므로 흙이 많으면 金이 흙에 묻힐까 두렵다.
戊己인수를 거듭 보면 남에게 압박을 당하는 형상이므로 土를 극하는 갑목이 투출해야 좋다.
시 일 월 년 (건명)
丁 庚 己 庚
丑 寅 卯 申
丙 乙 甲 癸 壬 辛 庚
戌 酉 申 未 午 巳 辰
경금이 묘월에 태어나서 약하지만 丑에 뿌리르 둔 기토가 투출해서 경금을 도와 강해졌다.
여기에 용신인 정화가 투출해서 金을 제련하니 스스로 귀하게 된다.
寅卯재성이 강해서 재물이 있고, 의리와 인정이 있었다.
시 일 월 년 (건명)
甲 庚 己 庚
申 子 卯 午
丙 乙 甲 癸 壬 辛 庚
戌 酉 申 未 午 巳 辰
묘월 경금에 필요한 정화와 갑목과 경금 중 갑목과 경금은 투출하였으나
경금을 제련하는 정화가 투출하지 않아 온전히 귀하지 않다.
무과 벼슬을 하였을 뿐이다.
시 일 월 년 (건명)
丁 庚 辛 辛
亥 寅 卯 酉
甲 乙 丙 丁 戊 己 庚
申 酉 戌 亥 子 丑 寅
경금일간도 강하고 재성도 강하며 해수 식상이 통관하고 정화 정관이
경금을 제련한다.
단, 정화를 살리는 갑목이 투출하지 않아 무과에 장원하는데 그쳤다.
시 일 월 년 (건명)
丁 庚 辛 丙
亥 辰 卯 申
戊 丁 丙 乙 甲 癸 壬
戌 酉 申 未 午 巳 辰
辛金이 경금일간을 방조하고 지지의 재성이 丙丁 관살을 생조하여
크게 귀하게 되었다.
그러나 자식을 뜻하는 시지의 정화 용신이 해수인 절지(絶地)에 있고
申辰 水식상국이 용신인 정화를 극하여 자식이 없었다.